5월 서비스물가, 김밥·피자·간병도우미 등 전체 항목의 9.6%가 10% 이상 올라
“한 번 오르면 안 내리는 서비스물가가 인플레 주도, 쉽게 둔화 안 돼”
외식물가 줄줄이 상승
삼겹살·자장면 등 외식 품목 물가가 지난 4월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17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8개 외식 품목의 지난달 서울지역 평균 가격이 작년보다 최고 13% 가까이 뛰었다. 자장면은 6146원에서 6915원으로 12.5% 올랐고, 삼겹살(200g 환산 기준)은 1만 7261원에서 1만 9236원으로 11.4% 상승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명동거리에 설치된 음식점 메뉴 배너. 2023. 5. 17. 연합뉴스
물가상승률 지속성 높은 서비스 물가가 인플레이션 이끌어25일 서울신문이 통계청의 지난달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 자료 중 개인서비스(외식·외식 제외) 116개 품목의 물가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108개(93.1%) 품목의 물가가 전월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총 11개 품목(9.6%)이 전년 동월 대비 10% 이상 상승했다. 외식물가가 6.9% 상승한 가운데 김밥(10.1%), 햄버거(10.3%), 피자(12.2%) 등 서민 먹거리 가격 상승세가 가팔랐다. 세탁료(11.3%), 간병도우미(11.4%) 등 필수 서비스와 운동경기관람료(11.7%), 호텔숙박료(10.8%) 등 여가 및 휴가철 물가도 큰 폭으로 올랐다.
이들 서비스 물가는 휘발유나 농산품 등과 달리 한 번 오르면 쉽게 내리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근의 인플레이션은 이처럼 물가 상승의 지속성이 높은 서비스 물가가 주도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2002년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을 상품과 서비스로 나눠 ‘지속성 계수’를 산출한 결과 근원상품가격 상승률의 지속성 계수는 0.04에 불과한 반면 근원서비스물가 상승률의 지속성 계수는 0.33으로 추정됐다.
근원서비스를 구성하는 세부 품목들을 대상으로 지속성 계수를 측정해 평균을 웃도는 품목을 ‘지속성이 높은 품목’으로 분류해 보면, 2021년 1분기 근원서비스물가 상승률 중 이들 품목의 기여도(0.6%포인트)가 지속성이 낮은 품목(0.8%포인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올해 1분기 근원서비스물가 상승률에서 지속성이 높은 품목(2.7%포인트)의 기여도가 낮은 품목(1.8%포인트)을 역전했다. 한은 관계자는 “물가상승률 지속성이 높은 품목의 인플레이션 기여도가 높아지면서 근원서비스 물가가 쉽게 둔화하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7% 오른 외식물가가 서비스물가 압력 … “밀가루값 때려도 외식비 안 내려”
개인서비스 업종별 물가 상승률
-10면
-10면
실제 과거 물가상승기(1998년·2008년·2011년)와 비교해보면 최근 근원서비스물가 상승률은 근원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은 이후 6개월 간 0.4%포인트 둔화하는 데 그쳐 2008년(1.9%포인트)과 2011년(1.6%포인트)에 비해서도 더디게 둔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라면 가격 인하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등 정부는 대표 먹거리인 라면과 원료인 밀가루 가격을 인하하도록 식품업계를 상대로 전방위 압력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라면값 때려잡기’로는 서비스물가가 이끄는 인플레이션을 막을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최근의 근원서비스 인플레이션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늘어난 고용과 분출하는 서비스 소비, 원료와 에너지, 임대료, 인건비 등 누적된 비용 상승 압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탓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밀가루 같은 개별 품목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것으로는 최근의 근원물가 상승률을 낮출 수 없다”면서 “결국 통화정책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