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6·25를 잊지말자?

[특별기고] 6·25를 잊지말자?

강만길 기자 기자
입력 1999-06-05 00:00
수정 1999-06-0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6·25와 현충일이 든 ‘잔인한 달’ 6월이 또 돌아왔다.우리는 6·25 전쟁후 반세기 동안 이 달이 돌아올 때마다 ‘6·25를 잊지 말자’고 외쳐 온 셈인데,김대중정부의 대북 화해정책이 어느 정도 정착돼 가는 시점에서 맞는이 6월도 북녘에 대한 경계심과 적개심을 높이기만 하는 한 달이 돼야 할 것인가 생각해볼 만하다.그보다는 이제 평화롭게 통일해갈 수 있는 지혜를 배우고 그 방법을 생각해 보는 한 달이 돼야 하지 않을까 한다.

6·25전쟁은 통일전쟁이었다.처음에는 북쪽에 의해 무력통일이 될 뻔했으나 미군을 주력으로 하는 유엔군의 참전으로 불가능했다.다음에는 인천상륙과유엔군의 38선 돌파로 남쪽에 의한 무력통일이 될 뻔했으나 이번에는 중국군의 참전으로 좌절됐다.결국 어느쪽도 무력으로 통일할 수 없었는데,그 원인은 한반도 지역이 처한 지정학적 위치가 중요한 원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통일을 목적한 전쟁이 3년간이나 계속됐으나 200만명 이상의 목숨이 희생되고 전 국토가 황폐화했을 뿐 통일은 되지 않았다.여러번 말했지만 6·25전쟁은 한반도 지역이 지정학적 조건 때문에 전쟁의 방법으로는 통일될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가르쳐 준 전쟁이었으며,그 때문에 평화통일론이 정착돼 가고 있다.이 사실을 역사학은 정확하게 이해하고 가르쳐야 할 것이다.

얼마전 어느 국제학술회의에서 우리쪽 참가자가 중국 참가자에게 만약 한반도가 남쪽에 의해 흡수통일되면 중국은 어찌하겠느냐고 물었더니 중국으로서는 용납하기 어려울 것이라는,국제학술회의 참가자 치고는 비교적 솔직한 대답이 나왔다.

아마 러시아 참가자가 있었고 같은 질문을 받았다면 같은 답을 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봤다.

그리고 지금은 가능성이 희박해졌지만 만약 한반도가 북쪽에 의해 흡수통일되는 경우 어찌하겠느냐 하고 일본이나 미국 참가자에게 물었다면 비슷한 답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되기도 했다.

6·25때도 그랬지만 지금도 한반도 통일과 주변 세력의 이해관계를 생각해보면 대체로 보아 해양쪽의 미국과 일본이,그리고 내륙쪽의 중국과 러시아가 이해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상황 아래서 전쟁통일도,흡수통일도 아닌 ‘대등’통일을 어떻게 이루어낼 것인가 하는 것이 한반도 통일문제의 초점이라 할 수 있다.

6·25를 침략전쟁으로만 보고 누가 먼저 침략했는가를 따지는 역사인식에한정되는 한 6월은 계속 침략자에 대한 적개심과 재침에 대한 경계심을 높이는 달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적개심과 경계심을 높이는 일만으로 주변 열강의 대립된 이해관계속에서 평화통일을 이뤄내기는 어렵다.지난 50년간 남북 사이의 이 적개심과 경계심은 한반도 지역을 세계 무기상인들의 좋은 시장이 되게 했다.

중국에 예속됐다가 일본의 식민지가 됐고 남북으로 분단돼 싸웠던 한반도지역이 평화롭게 통일돼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제3의 독자적 위치를 확보할수 있을 때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시아 전체의 항구적 평화가 올 수 있을 것이며,그것이 21세기 전체 동북아시아 주민의 과제이기도 하다.그리고 그것은 ‘6·25를 잊지 말자’는 구호가 없어질 때 가능하게 될 것이다.

언제쯤에나 ‘6·25를 잊지 말자’는 말이 나오지 않게 될까.언제쯤에나 ‘6·25를 잊지 말자’는 구호가 없어져야 한다는 말이 불온하게 취급되지 않게 될까.

그러나 분명한 것은 ‘6·25를 잊지 말자’는 구호가 없어질 때 옳은 의미의 평화통일이 가능하다는 사실일 것이다.

강만길/고려대학교 명예교수
1999-06-05 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