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무용단 ‘산조’ 3막 장면. 국립극장 제공
국립무용단이 지난 23~25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인 ‘산조’는 산조 특유의 불규칙성과 즉흥성을 토대로 흩어짐과 모임의 미학을 춤과 음악, 무대 미장센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산조 음악의 다양한 장단과 기교가 평생 한국무용을 수련한 무용수들을 통해 무대 위에 펼쳐졌다.
작품은 총 3막 9장으로 구성됐다. 사서(四書) 중 하나인 ‘중용’의 내용을 주제로 삼았다.
‘산조’ 1막 장면. 국립극장 제공
안무가 최진욱이 전통과 현대를 절묘하게 조화시킨 춤은 연출가 정구호가 여백의 미를 살린 그림 같은 미장센과 만나 움직임이 더 돋보였다. 평생 한국무용을 수련한 무용수들은 자유로운 흐름과 에너지로 무대 위에서 마음껏 기량을 뽐냈다. 무용수들은 그 자체가 하나의 작은 우주로서 전체 큰 우주를 구성하며 한국적인 미학을 펼쳐냈다.
전통 산조를 일렉트로닉 사운드로 재해석한 음악은 ‘보는 춤’을 넘어 ‘듣는 춤’으로 관객의 귀를 사로잡았다. 국악이 현대적인 비트와 섞여 중독성 강한 소리를 만들어내며 공연이 끝나고도 귓가를 맴돌게 했다.
무대 장치 역시 의미 있게 설치돼 작품의 깊이를 더했다. 1막에선 전통의 철학적 본질을 상징하는 지름 6m의 대형 바위 형상의 오브제가 등장해 변화를 보여줬고, 2막에선 움직이는 삼각형 조형물이 등장해 무용수들의 춤과 어우러져 불균형을 시각화했다. 3막에선 발광다이오드(LED) 패널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무용수들과 함께 안정적인 구조를 드러냈다. 관객들은 정(靜)과 동(動)의 조화를 이룬 춤사위를 통해 색다르고 새로운 균형의 미학을 경험할 수 있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