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파동도 겪고, 2002년에는 아시안게임 때문에 11월로 미루기도 했는데 이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부산영화제의 25년을 함께한 ‘산증인’의 토로였다.
부산영화제가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 개최를 진행한 것은 “세계 영화계에서 쌓아 온 부산영화제의 신인도를 지키기 위해서였다”는 게 이 이사장의 설명이다. “제작자, 감독들에게 출품을 권하면서 ‘오프라인으로 하겠다’고 했는데, 온라인으로 돌리면 굉장한 결례가 되죠. 우리를 믿고 프리미어(처음 공개하는 작품)를 보내 줬는데 개봉하지 못하면 해를 넘겨야 하니까요. 외국에서도 통용되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스템도 안 갖춰져 있었고요.”
그래서 지난 8월 코로나19 재확산 이후에는 전면 취소 가능성을 한 축에 두고, 최소 규모로 방역이 가능한 모델을 만드는 일에 착수했다. ‘좌석 간 거리두기를 충분히 하자’를 핵심 개념으로 뒀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이 1단계가 되더라도 우리는 1.9단계로 생각하고 준비하자고 했습니다. 일반 극장은 전체 좌석수의 50%까지 활용하지만 우리는 좌석 가용률을 25%로 잡았고요.” 코로나블루로 신음하는 국내의 영화인들에게 활력을 불어넣는 일도 BIFF 개최의 사명이었다고 이 이사장은 힘주어 말했다.
“지난해 결산 때 이미 200~250편 규모로 하자는 얘기가 나왔어요. 예산은 동결된 지가 10년이 넘었는데 부피는 계속 커져 일하는 사람의 복지, 인권 문제를 겪다 보니 내실을 기하자는 얘기였죠.” 영화의전당이라는 전용관의 존재도 자신감을 북돋우는 데 한몫했다고 그는 말했다.
반응은 좋은 편이다. 지난 15일 예매가 오픈된 이래 20일 현재 예매율은 88%다. 작품당 1회 상영과 적은 좌석수라는 조건을 감안해도 예년의 70% 수준을 생각하면 놀라운 수치다. “더 많은 분들에게 영화를 보여 드리지 못해 죄송스럽다는 생각뿐입니다. 우리 영화제가 세계에서 1등인 부분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관객들의 시민 의식입니다. 이번에도 믿는 건 그거죠.”
글 사진 부산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