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선영의 의(醫)심전심] ‘암환자 면역치료’ 1주 144만원

[김선영의 의(醫)심전심] ‘암환자 면역치료’ 1주 144만원

입력 2020-08-04 17:36
업데이트 2020-08-05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선생님, 이런 치료를 권유받았는데…. 해도 되나요?”

항암치료를 앞둔 환자가 꼬깃꼬깃 접어 놓은 종이를 주머니에서 꺼낸다. 펼쳐 보니 모 한방병원의 안내지다. 1주 입원 프로그램 144만원. 양한방 협진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침과 뜸은 물론 고주파 온열치료, 면역력을 강화시킨다는 단백질 주사, 여기에 ‘면역주사’라는 이름으로 영양제, 비타민, 간기능 개선제의 조합이 나열돼 있다. 대부분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이른바 ‘암환자 면역력 강화 프로그램’이다.

“환자분, 식사 잘하시고 운동 꾸준히 하시는 게 더 중요해요. 뻔한 얘기 같지만 정말이에요.” “이건 그럼 할 필요 없나요?” “효과는 불분명한데 너무 비싸요. 저희 가족이라면 권하지 않겠습니다.”

내 가족에게는 안 권한다는 정도의 표현이 들어가야 설득력이 있을 거라 생각하고 건넨 말인데, 환자는 수긍하는 눈치는 아니다. 왠지 교과서 위주로만 공부하면 된다는 학교 선생님 말씀처럼 들리는 건 아닐까. 사교육은 안 하는 게 바보인 것으로 여겨지는 나라에서, 비급여 면역 강화 치료도 환자들에게는 필수 아이템인 것일까.

내가 주로 치료하는 대장암의 경우 환자의 항암치료 부담액은 대략 한 달 5만~15만원이다. 대부분 건강보험공단 급여 대상이다. 암환자의 본인 부담이 전체 비용의 5%임을 감안하면 실제 한 달 치료비는 100만~300만원인 셈이다. 1주당 금액으로 환산하면 그래도 100만원이 넘지 않는다. 효과가 여러 임상시험을 통해 수만명에게서 검증된 항암제의 가격이 정체 모를 면역력 강화 프로그램보다 저렴하며, 그나마도 환자는 이 중 5%만 내면 된다. 이렇듯 환자 부담을 공보험으로 상당 부분 감면해 줘도 딴 데 눈을 돌리는 까닭은 혹시 나중에라도 후회할까 봐 불안하기 때문일 것이다.

오래전 암으로 돌아가신 나의 아버지 또한 그러했다. 각종 약초와 환약, 온갖 종류의 정체 모를 약과 식품들, 암을 완치시켜 준다는 수기와 비법이 담긴 책들이 집안에 굴러다녔다. 아버지는 대학원까지 나온 전문직이었음에도 근거 없는 민간요법을 믿고 기대었다. 그래도 당시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시장에는 민간요법이 전부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이제는 온갖 건강보조식품에다 요양병원, 한방병원까지 뛰어든 큰 시장이 됐다. 국가가 발급한 의료인 면허를 가진 이들이 이런 사업을 하고 있으니 귀가 솔깃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암 치료에서 면역항암제가 각광받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 몸의 면역기능은 세균이나 암을 물리칠 수도 있지만 정상조직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양날의 칼이다. 여러 종류의 면역세포와 사이토카인은 물론 장내세균총까지 연관되는 복잡한 체계여서 ‘강화’와 ‘약화’라는 일차원적 수준으로 말하기 어렵다. 종양에 맞서는 인체의 면역력을 어떻게 측정하며 그 측정 지표가 실제 암 치료 예후와 관계가 있는지, 특정 면역기능이 활성화되면 과연 그것이 항암효과를 나타낼 것인지. 아마도 면역력 강화를 내세워 장사하는 이들은 이런 질문에 대답할 필요도 책임도 느끼지 않을 것이다.

어느덧 ‘면역력’은 시장에서 프리미엄을 얹어 주는 무적의 단어가 돼 있다. 최근 첩약 급여화 이슈로 의료계와 한의계가 대립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 면역력을 강화해 준다는 비급여 시장에서는 양한방 협진 면역 암치료라는 이름으로 사이좋게 공존하고 있는 것이 아이러니하게 느껴진다.

그러나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이 손 씻고 마스크를 쓰는 기본적 생활수칙이듯, 암환자의 투병에 필요한 것은 균형 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 등 좋은 생활습관을 잘 유지하는 일이다. 필요하다면 상담이나 약물치료로 불안과 우울 등 감정적인 문제를 다스리는 것도 포함한다. 의사가 말해 주지 않는 진실이나 비법은 없다.
2020-08-05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