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북한, 잠잠한 6·25…중앙군사위 ‘본회의’는 언제쯤

북한, 잠잠한 6·25…중앙군사위 ‘본회의’는 언제쯤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20-06-25 16:30
업데이트 2020-06-25 16: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중앙군사위 예비회의서 대남 군사행동을 ‘보류’한 지 사흘째인 25일에도 북측은 관영매체에 대남 비난기사를 싣지 않았다. 다만 여전히 ‘행동 재개’ 여지를 남겨놓은 만큼, 중앙군사위 본회의가 언제 열릴지 관심이 집중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는 6·25전쟁 70주년인 이날 관련 기사를 집중적으로 게재했다. 전날 북측이 전방지역 30여곳에 재설치했던 대남 확성기를 모두 철거한 데 이어 대남 비난기사도 이틀째 보도되지 않았다. 지난 4일 김여정 제1부부장의 탈북단체 대북전단(삐라) 비난 담화 이후 군중집회과 대남전단 준비 과정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던 것과 사뭇 대조된다.

김영철 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전날밤 발표한 담화문에는 “대남 군사행동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는 정경두 국방장관의 국회 발언을 적시하며 ‘자중’을 요구해 긴장이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는 “우리의 ‘보류’가 ‘재고’로 될 때에는 재미없을 것”이라며 “남조선 당국의 차후 태도와 행동 여하에 따라 북남관계 전망을 점쳐볼 수 있는 시점”이라고 했다. 북측이 개성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하고 ‘완전한 결렬’을 선언한 만큼 대남 군사계획의 보류가 취소를 뜻하는 게 아니며 오히려 계획의 재개가 되지 않도록 하라는 경고성 메시지다.
이미지 확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7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13차 정치국 회의를 열어 자립경제 발전과 인민생활 향상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노동신문이 8일 보도했다. 2020.6.8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7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13차 정치국 회의를 열어 자립경제 발전과 인민생활 향상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노동신문이 8일 보도했다. 2020.6.8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본회의가 열린다고 해도 군사계획의 취소가 될지, 도리어 대남공세 재개가 될지는 미지수다. 향후 한미연합군사훈련 재개 여부, 대북전단 살포 방지대책의 실효성 있는 집행 등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가 8월 하반기 연합군사훈련을 진행한다면 북측은 또다시 군사 위협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하반기 훈련 역시 축소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맞물린 훈련을 취소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도 변수다. 정부는 살포 현장에서 단속한다는 입장이나 지난 22일 기습적으로 대북전단을 살포한 자유북한운동연합 박상학 대표는 여전히 의지를 보이고 있다. 북측이 주민들의 규탄 시위로 대남 강경기조를 뒷받침한 만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난 악화 여부도 눈여겨봐야 한다. 내부 결속 목적으로 공세를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
이미지 확대
강물에 잠긴 대북전단 살포 풍선
강물에 잠긴 대북전단 살포 풍선 지난 22일 밤 경기 파주에서 탈북단체가 보낸 대북전단 살포용 풍선이 23일 홍천군 서면 마곡리 인근 야산에 떨어져 있다.
발견된 대북전단 살포용 풍선은 2∼3m 크기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일가의 사진이 부착돼 있다. 2020.6.23 연합뉴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당분간 대북전단 문제 등에 대한 남측의 태도와 행동을 지켜볼 것”이라며 “8월 한미연합군사훈련이 진행된다면 이를 빌미로 보류 결정을 재고한다고 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통일부는 북측의 군사행동 보류 결정을 “긍정적 신호의 출발”이라며 반겼다. 통일부 관계자는 “결정적 단계에서 군사적 조치를 보류한 행위 자체는 긍정적이지 않을 수 없다”며 “향후 남북 관계도 개선하고 대화를 통해 상호 관심사들이 협의될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