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근대광고 엿보기] “잿물보다 훨씬 좋은 ‘소다’ 팝니다”/손성진 논설고문

[근대광고 엿보기] “잿물보다 훨씬 좋은 ‘소다’ 팝니다”/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01-19 22:42
업데이트 2020-01-20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성신문 1901년 4월 10일자의 소다 광고.
황성신문 1901년 4월 10일자의 소다 광고.
“此(차) 純(순)소다가 大韓草木灰水(대한초목회수)보담 甚(심)히 好(호)한 物(물)이니 各處(각처)에 代用(대용)함이 妥當(타당)하오며….”

용 두 마리 사이에 ‘BM&Co.’라는 상표로 표시된 영국 회사 ‘뿌루너 못든’(브루너 모튼)의 소다 광고다. 요즘의 ‘탄산소다’, ‘소다수’, ‘가성소다’에 들어간 그 소다다. 한국 신문 최초의 전면광고이자 최장 기간 게재된 광고다. 국한문 혼용 신문인 황성신문 1899년 11월 14일자 4면 중 마지막 면에 처음 게재된 뒤 1902년 12월 말까지 장장 3년 1개월 반 동안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실렸다. 소다에 대한 수요와 인기가 많았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광고에는 세탁과 제지용의 ‘타는 소다’, 세탁과 제지, 토기·유리 제조용의 ‘순소다’, 떡이나 과자 제조용이나 약용의 ‘결면 소다’, 명주실을 짤 때 쓰는 ‘수정 같은 소다’ 등 네 가지 소다를 소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일반 가정에 많이 필요했던 것은 아마도 타는 소다(가성소다)와, 그와 비슷하지만 약한 성질의 순소다였을 것이다. 가성소다는 강한 알칼리 성질인 수산화나트륨(NaOH)의 다른 말로 서양에서 들어온 잿물이라는 뜻인 일명 양잿물로도 불렸다. 가성(苛性)이란 부식성, 독성이 있다는 뜻이다. 양잿물은 자결용 독극물로 쓰이기도 했으며 ‘공짜라면 양잿물도 마신다’라는 속담도 있다. 근대 이전에 한국인들은 광고에 ‘大韓草木灰水’라고 적혀 있는 잿물을 세제로 썼다. 잿물이란 콩깍지, 짚 등을 완전히 태워 나온 재를 시루에 안치고 물을 부어 우려낸 물인데 무명옷이나 이불을 빠는 데 쓰였다. 그러나 수산화칼륨(KOH) 등이 섞여 있어 성분이 순수하지 않았다.

가성소다에 유지, 즉 기름을 섞으면 비누가 된다. 광고 문안에도 “肥?(비누)도 제조하나니”라고 썼다. ‘肥?’(비조)는 비누의 중국어다. 동물성 기름이 귀하던 때라 가성소다에 식물성 등겨 기름을 섞어 비누를 만들기도 했는데 거칠고 검어 ‘석감’(石?)이라고 했다. 일본에서는 비누를 포르투갈어 발음을 따른 샤봉 또는 ‘셋겡’이라고 하는데 셋겡이 바로 석감의 일본어 발음이다. 영남에서는 1970년대까지도 비누를 더러 ‘사분’이라고 불렀는데 19세기에 프랑스 신부 리델이 국내에 갖고 들어온 샤봉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비누는 우리 고유의 어휘다. 조선시대 중국어 학습서인 ‘박통사언해’(1677)에 “비노 잇나냐 날을 주어 머리 감게 하라”는 글이 나온다. 이 글에 보이는 ‘비노’가 비누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광고에 있듯이 19세기에는 비누라는 말이 일반화됐다. 비슷한 시기에 광고주는 제국신문에 “황토마루(광화문) 서다리 남편 벽돌집 소다발매소에서 소다를 판다”고 광고했다.

sonsj@seoul.co.kr
2020-01-20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