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파업 첫날 열차 대란 없었지만… 주말 대입 수험생 이동 비상

파업 첫날 열차 대란 없었지만… 주말 대입 수험생 이동 비상

박승기 기자
박승기, 홍인기 기자
입력 2019-11-20 17:48
업데이트 2019-11-20 18: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레일 비상수송체제 전환

첫날 열차 운행률 75.3%… 혼란 적어
내일 파업 본격화 출퇴근길 지연 우려
현장 구매 나선 노인들 열차 이용 불편
비상 인력 가동, 평시 62% 수준 그칠 듯
코레일 사장 “대화 통해 빠른 해결 노력”
이미지 확대
텅텅
텅텅 20일 서울역 플랫폼이 텅 비어 있는 모습.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인력 충원과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과 코레일 자회사 노조가 20일 오전 9시 연대 파업에 돌입하면서 열차 이용에 차질이 빚어졌다.

철도 파업은 2016년 ‘9·27 파업’ 이후 3년 만이고 자회사 연대 파업은 처음이다.

코레일에 따르면 파업 첫날 열차 운행률은 평시(3178편) 대비 75.3%(2394편)로 떨어졌다. 노조 파업이 출근 시간 이후 진행돼 혼란을 다소 줄일 수 있었지만 둘째 날(21일)부터 열차 이용 불편이 가중될 전망이다. 더욱이 열차 승무를 담당하는 코레일관광개발과 고객센터·매표·도심공항터미널 출국 업무 등을 수행하는 코레일네트웍스 노조도 파업에 들어가 철도 현장마다 혼란이 일었다.

서울역과 수서역 등 주요 역은 대란 수준의 혼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열차표를 역보다 스마트폰 앱 등 온라인으로 구입하고 파업이 예보돼 미리 표를 변경했기 때문이다. 다만 노인들과 현장 구매에 나선 이용객들은 큰 불편을 겪었다. 대구행 열차를 기다리던 최은수(56)씨는 “평소 5분쯤 기다리면 기차를 탔는데 2시간 이상 대기해야 했다”고 말했다. SRT는 전석이 매진됐다. 울산에서 수서를 오간다는 양정희(60·여)씨는 “열차 안뿐 아니라 통로에도 서 있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았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가득
가득 철도노조원들이 20일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철도파업 출정식에서 ‘인력충원’, ‘합의이행’, ‘철도하나로’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시작된 철도노조의 파업 참가율은 22.7%로 집계됐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코레일은 비상수송체제로 전환하고 가용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 노조 파업에 따른 운용 인력은 필수유지인력 9630명과 대체인력 4686명 등 총 1만 4316명으로 평시(2만 3038명) 대비 62.1% 수준이다.

이용객이 많은 출퇴근 시간 광역 전철과 수송인력이 많은 KTX에 대체 인력을 집중 투입해 열차 운행 횟수를 최대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수도권 전철은 평시 대비 82.0% 운행한다.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출퇴근 시간대에 열차와 인력을 투입해 출근 시간에는 92.5%, 퇴근 시간에는 84.2%를 유지키로 했다.

KTX 운행률은 평시 대비 68.9%, 일반 열차는 새마을호 58.3%, 무궁화호 62.5% 등 필수유지 수준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필수유지 업무가 아닌 화물열차는 내부 대체기관사를 투입해 평시 대비 31.0% 운행한다.

다만 주말과 휴일 대학별 수시 면접과 논술, 면접고사 등이 예정된 가운데 열차 운행이 감소하면서 수험생들의 불편과 불안감이 높아질 수 있다. 코레일은 수험생이 열차 출발이 지연되거나 운행 도중 지연이 예상되면 KTX를 포함해 선행 열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무료 환승 조치한다. 또 수험생이 탄 열차 운행이 늦어지면 하차역에서 시험장까지 긴급 수송할 수 있도록 경찰 등과 협조하는 한편 해당 대학에 수험생 도착 상황도 사전 통보키로 했다.

손병석 코레일 사장은 철도노조 파업과 관련해 “국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모든 자원을 동원해 안전하게 열차를 운행하고, 대화를 통한 빠른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사과했다.

노조와 파업 직원들에게는 “한꺼번에 관철하는 파업이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면서 대화로 문제를 풀어 나가는 것”이라며 “국민이 등을 돌리면 우리 철도에 미래는 없다”고 호소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서울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9-11-21 1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