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개천에서 용 되기/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개천에서 용 되기/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19-10-14 20:52
수정 2019-10-15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문경새재는 ‘나는 새도 한 번에 넘기가 힘든 고개’라는 뜻이라고 한다. 그래서 조령(鳥嶺)이라고도 했다. 지난해 이맘때쯤 처음 둘러본 후 문경새재의 매력에 푹 빠졌다. 계절의 변화를 실감케 하는 경치를 품은 산세와 그 사이로 이어진 고갯길 등등. 마치 옛날 어느 선비의 일상이 느껴지는 듯한 정취였다. 특히 ‘문경’(聞慶)이란 지명의 의미를 알고는 이곳을 좋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들을 문(聞), 경사 경(慶). 기쁘고 경사스런 소식을 들을 수 있는 곳이라는 의미다. 영남 일대의 선비들이 과거를 보기 위해 반드시 넘어야 했던 곳. 과거시험의 결과를 가장 빨리 들을 수 있었던 곳. 그곳이 바로 문경새재였다.

개인이나 집안의 경사 중에 자녀의 ‘입신양명’만 한 것은 없을 터. 과거 합격은 ‘개천에서 용 되기’ 위한 그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니 과거시험 합격은 예나 지금이나 모든 이에게 큰 기쁨을 안겨 주기에 충분하다.

오늘날은 ‘공시’(公試·공무원시험)를 통과해야만 공직자로 근무할 수 있다. 그러니 공시를 과거시험과 비교해도 될 듯하다.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출신자들에게만 응시 자격이 주어진 변호사 자격 시험도 과거시험이라고 할 수 있지만, 공시가 이에 더 가깝다. 9급이든 7급이든, 아니면 행정고시로 불렸던 5급 시험이든 직급과 관계없이 모두 과거시험이나 다름없다. 더구나 요즘의 공시는 과거시험 못지않게 매우 어렵다. 100대1 이상의 경쟁은 다반사라고 한다. 대학생들이 몇 년을 열심히 공부하며 시험 준비를 잘해야 겨우 합격할 수 있을 정도다.

과거시험과 공시의 최고 매력은 공정성 아닐까. 결격 사유가 없는 한 남녀노소 누구나 응시할 수 있고, 점수를 많이 받으면 합격한다. 실력이 평가의 기준이었다. 다른 점이라면 요즘 공시엔 부모의 경제적인 능력이 추가됐다는 데 있다. 의아해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공시 준비생들은 이에 공감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어제 언론을 통해 알려진 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공무원시험 합격률과 가구소득이 전반적으로 비례했다. 다시 말해 부모의 경제력이 높을수록 자녀의 공시 합격률이 높았다는 연구 결과다. 게다가 9급, 7급, 5급 등 응시 급수와 합격률은 소득 격차에 따라 확연히 구분됐다. 5급의 경우 소득차에 따라 응시율마저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두 해 전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대학생 4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청년의 성공 요인 1순위로 중국·일본은 재능을, 미국은 노력을 꼽은 반면 한국 학생들은 부모의 재력(50.5%)을 꼽았다는 사실이 실감 난다. “개천에서 용 났다”는 경사스런 소식을 듣기는 더욱 어려워진 세상이다.
2019-10-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