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마리아 칼라스: 세기의 디바’

‘마리아 칼라스: 세기의 디바’
조금의 냉소도 담지 않고 말하건대, 지금은 오페라의 시대가 아니다. 이제 오페라가 세간의 화제에 오르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까. 하지만, 적어도 서양의 1950~1960년대 오페라는 문화적 변방에 있지 않았다. 그러는 데 소프라노 마리아 칼라스의 역할이 컸다. 이 영화는 ‘세기의 디바’로 불렸던 그녀의 음악적 성취, 그리고 “영원히 당신의 사랑과 존중을 필요”로 했던 그녀의 삶을 조명하는 다큐멘터리다.

무엇보다 감독의 개입이 두드러지는 내레이션과 마리아 칼라스 지인들의 인터뷰가 없다는 점이 독특하다. 이 작품에서는 오직 마리아 칼라스만 말하고 노래한다. 아니 그녀의 존재 자체가 오페라인 양, 마리아 칼라스는 말하듯 노래하고, 노래하듯 말한다. 실제로 그녀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내 비망록은 노래 안에 담겨 있어요. 그게 내가 할 줄 아는 유일한 언어니까요.”

위에 언급한 대로 이 영화를 보는 방법은 두 가지다. 마리아 칼라스의 음악적 성취에 집중하든지, 삶에 집중하든지. 둘 다 아우르는 게 제일 좋겠지만, 이 글에서는 전자에만 초점을 맞춘다. 물론 유부녀였던 그녀가 그리스 선박왕으로 불린 아리스토 오나시스와 염문을 뿌렸다는 사실, 그런 아리스토 오나시스가 마리아 칼라스를 배신하고 케네디 대통령의 부인이었던 재클린과 결혼했다는 사실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 주목할 사실이 있다. 이런 와중에 마리아 칼라스가 오페라 가수로 끊임없이 무대에 섰다는 것이다. 톰 볼프 감독은 비제의 카르멘 ‘하바네라’ 등 그녀가 공연에서 부른 아리아 영상을 곳곳에 배치해 두었다. 설령 이 영화를 통해 마리아 칼라스를 처음 알게 된 관객이라 할지라도 감동할 수밖에 없는 가창들이다. 그녀가 온몸으로 노래하기 때문이다. 목소리뿐만이 아니다. 표정과 제스처 역시 마리아 칼라스의 언어였다.

철학자 믈라덴 돌라르는 ‘오페라의 두 번째 죽음’이라는 책에 다음과 같이 썼다. “오페라의 매력은 아마도 오페라의 이상한 시간성과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장르로서의 오페라에 관한 설명이다. 종언을 맞이한 듯 보이지만 여전히 살아 있는 오페라. 그것이 완전한 과거도 현재도 아닌 중첩된 시간대를 만들어 낸다는 이야기다. 한데 어쩐지 이 말은 마리아 칼라스에게 고스란히 적용되는 것처럼 느껴진다. 특히 아래 문장이 그렇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오페라의 긴 생애의 여정 속에서 장엄한 죽음은 디바의 주된 직무였으며 그토록 많은 작품에서 그러한 죽음을 그토록 많이 겪은 이후에 그녀는 죽음에 대한 면역을 가지게 된 것처럼 보이기도 했을 것이다.” 오페라에서 마리아 칼라스는 수없이 죽음을 맞았다. 그런데 어떤가. 그녀는 명실상부한 불멸의 디바가 됐다. 사후 42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마리아 칼라스는 노래로 우리에게 영향을 끼친다. 그녀의 예술이 인생보다 길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