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DJ의 ‘아픈 손가락’…고문 후유증 파킨슨병 앓다 아버지 곁으로

DJ의 ‘아픈 손가락’…고문 후유증 파킨슨병 앓다 아버지 곁으로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9-04-21 22:38
업데이트 2019-04-22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근태처럼…고문에 스러진 김홍일

신군부의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등 엮여
중앙정보부서 전신 구타 등 극심한 고문
수차례 수술에도 언어 장애 등 평생 고통
DJ, 나라종금 사건으로 의원직 상실 당시
“홍일이 유죄 받더라도 걷는 모습 봤으면”
이미지 확대
20일 별세한 김홍일(오른쪽) 전 민주당 의원이 15대 총선 당선 직후인 1996년 4월 16일 국민회의 당선자대회에서 아버지인 김대중 당시 국민회의 총재와 함께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별세한 김홍일(오른쪽) 전 민주당 의원이 15대 총선 당선 직후인 1996년 4월 16일 국민회의 당선자대회에서 아버지인 김대중 당시 국민회의 총재와 함께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0일 별세한 김홍일 전 의원은 고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세 아들 중 가장 ‘아픈 손가락’이었다. 군사독재 정권에 맞선 아버지를 둔 탓에 그는 모진 고문을 받고 파킨슨병 등 후유증으로 죽을 때까지 고통을 받았다.
이미지 확대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이 21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김 전 의원의 빈소를 찾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차남 김홍업 전 의원과 삼남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 상임의장 등 유족을 위로하고 있다. 뉴스1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이 21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김 전 의원의 빈소를 찾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차남 김홍업 전 의원과 삼남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 상임의장 등 유족을 위로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 확대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 김영삼민주센터 상임이사가 21일 김 전 의원의 빈소를 찾아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 김영삼민주센터 상임이사가 21일 김 전 의원의 빈소를 찾아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전 의원이 현역의원 시절 처음 그를 만난 기자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사진으로는 훤칠한 얼굴에 현직 대통령의 아들이라는 이미지까지 겹쳐 후광이 대단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정작 그는 혼자서는 몸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심각한 장애를 안고 있었다. 그의 어눌한 말투는 보통사람들은 도저히 알아들을 수 없어 비서가 옆에서 ‘통역’을 해 줘야 했다. 혼자서는 전혀 걷지 못해 건장한 비서가 늘 그를 부축하고 다녔다. 단순한 부축이 아니라 김 전 의원이 온몸을 비서에게 싣고 비서는 김 전 의원을 끌고 걷는 식이었다. 이런 실태를 접한 기자들은 다시 그의 사무실을 찾아 취재하는 것을 주저하는 경우가 많았다.

김 전 의원은 1971년 ‘서울대생 내란음모사건’의 배후로 지목돼 모진 구타와 고문을 겪었고 허리를 다쳤다. 그는 1980년 전두환 신군부가 조작한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당시에도 중앙정보부에 체포돼 극심한 고문을 받았다. 그는 당시 중정 요원들로부터 ‘네 아버지가 빨갱이라고 쓰라’는 압박과 함께 고문당했다. 김 전 의원은 자신이 고문을 못 견뎌 허위 자백을 할 것이 두려워 수사관의 눈을 피해 책상에 올라가 머리를 시멘트 바닥으로 처박고 뛰어내리며 자살을 시도하다 목을 다쳤다. 그러나 당시 중정 요원들은 김 전 의원을 치료해주기는커녕 전신을 구타했다. 당시 목과 허리의 신경을 다쳤던 김 전 의원은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해 파킨슨병을 얻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의원은 16대 의원 시절부터 보행이 불편해졌고 17대 의원이 된 2004년부터는 미국을 오가며 수차례 수술을 받았지만 2009년 김 전 대통령 서거 때는 거의 말을 하지 못할 정도로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임종 순간에 “아버지” 세 글자만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은 “(김 전 의원이) 고문 후유증으로 언어 소통이 어려워 (김대중) 대통령님과 소통이 안 되셨다”며 “제게 (김 전 의원의 뜻을) 알아보라는 대통령님 말씀에 연락했는데 나도 무슨 뜻인지 이해를 못하니 ‘글로 써 보내’라고 하면 김 전 의원은 ‘네’라고 답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김대중 대통령님은 장남 사랑이 지극하셨다. 특히 당신 때문에 고문 후유증에 시달리는 것을 매우 안타까워하셨다”고 했다.

이어 “(김 전 의원이) 나라종금 사건에 연루돼 의원직을 상실했을 때 대통령님은 ‘박 실장, 나는 우리 홍일이가 유죄를 받고 의원직을 상실하더라도 현금 3000만원을 들고 걸어가는 모습을 보았으면 원이 없겠어’라고 제게 말씀하셨다”며 “당시 김 의원은 3000만원 종이백은커녕 자기 혼자 일어서지도 걷지도 못했다”고 했다.

2011년 64세라는 비교적 이른 나이로 별세한 김근태 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도 군사독재 정권 당시 당한 고문 후유증으로 파킨슨병을 앓았다.

2011년 인권의학연구소와 국가인권위원회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문피해자들의 76.5%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겪고 있고 우울(25.4%), 불안(31.9%) 등 정서적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다. 자살을 시도한 경우는 24.4%로 일반인에 비해 2.4배 높았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9-04-22 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