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그들도 한때는 이민이었지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그들도 한때는 이민이었지

입력 2019-03-26 20:32
업데이트 2019-03-27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찰스 프레더릭 얼리치, ‘약속의 땅’, 1884년 (71.6×91.4㎝,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미국 워싱턴DC)
찰스 프레더릭 얼리치, ‘약속의 땅’, 1884년
(71.6×91.4㎝,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미국 워싱턴DC)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5000만명 이상의 유럽인이 새로운 삶을 찾아 신대륙으로 이주했다. 그중 3분의2가 미국을 택했다. 19세기 전반에는 독일인과 스칸디나비아인이, 19세기 중반에는 아일랜드인이 많이 이주했다.

시간이 갈수록 이민의 수는 불어났고, 점점 더 가난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남유럽과 동유럽에서 온 농민들이 많았다. 농민들은 궤짝이라도 하나 지녔으면 형편이 나은 축이었고, 대부분 자루나 모포 따위에 가재도구를 싸서 짊어지고 집을 떠났다. 장시간 열차를 타고 콘스탄티노플, 안트베르펜, 브레멘 같은 항구로 간 다음 다시 3등 선실에 몸을 싣고 뱃멀미에 시달리며 2주 가까이 항해를 해야 했다. 뉴욕에 도착하면 맨해튼 남단의 캐슬가든에 수용돼 입국 심사를 받았다.

캐슬가든에서 이민들이 입국 수속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마룻바닥에 각양각색의 궤짝이며 자루가 쌓여 있다. 궤짝에 소중하게 기대 놓은 살림도구가 눈을 끈다. 남자들은 머리를 맞대고 얘기를 나누거나 담배를 피우고, 젊은 어머니는 아기에게 젖을 물린다. 그 뒤의 어린 소녀는 불안과 호기심이 뒤섞인 시선을 화면 바깥으로 던진다. 어머니는 피곤한 모습이지만, 젖을 문 채 잠든 아기는 환하게 빛을 발하고 있다.

군대가 주둔하던 요새였던 캐슬클링턴은 1824년 공원으로 시민들에게 개방되면서 캐슬가든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산책로, 레스토랑, 공연장이 있어 뉴욕 시민의 휴식처 구실을 했으나 이민이 몰려들면서 1855년 이민국에 자리를 내주었다.

그러나 이민자들이 콜레라, 천연두 같은 전염병을 옮긴다는 민원이 제기됐다. 이민자들의 줄이 길어지면서 입국 허가 없이 슬쩍 사라지는 사람도 생겨났다.

이민국은 1892년 캐슬가든보다 고립된 환경인 엘리스섬으로 사무소와 수용 시설을 옮겼다. 이민자들이 ‘눈물의 섬’이라 불렀던 엘리스섬은 1954년까지 미국의 관문 역할을 했다.

미국 ‘토착민’으로 자부하는 사람들은 이민에 대해 위기감과 적대감을 품고 이민을 제한하려고 애썼으나 결실을 거두지는 못했다. 이민자들이 성장하는 미국 경제에 값싸고 풍부한 노동력을 제공했기 때문이었다.

미술평론가
2019-03-27 3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