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화장실 늘렸다고 치적 내세운 총리, ‘양보다 질’이라고 반박한 야당

화장실 늘렸다고 치적 내세운 총리, ‘양보다 질’이라고 반박한 야당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3-18 17:22
업데이트 2019-03-18 17: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도 북부 비하르주의 한 공중 화장실. AFP 자료사진
인도 북부 비하르주의 한 공중 화장실.
AFP 자료사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처음 집권했던 2014년 인도인의 40%가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었던 것이 자신의 클린 인디아 프로그램 덕에 90%가 이용하고 있다고 자랑했다. 다음달 11일 인도 총선을 앞두고 임기 중 치적으로 꼽았다.

인도에는 화장실이 부족해 사람들이 아무데서나, 심지어 들판이나 강에다 방뇨하는 일이 잦아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한밤 중에 여인네들이 컴컴한 들판에 나가 볼일을 보다 안전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야당 등은 가정에서의 화장실 숫자가 큰 폭으로 늘었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모든 화장실들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며 고장 없이 잘 이용되고 있지도 않다고 반박했다. 영국 BBC가 지난 15일(현지시간) 우리네 ‘팩트 체크’에 해당하는 ‘리얼리티 체크’를 해 눈길을 끈다.

클린 인디아 계획은 크게 농촌과 도시로 나뉘는데 농촌은 화장실을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 노상 방뇨를 막는 데 초점을 맞추고, 도시에서는 가정과 공공장소에서의 화장실을 확보하는 한편 정수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지난해 11월 정부 통계에 따르면 인도 가정의 96.25%가 자체 화장실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10월의 38.7%와 비교할 때 엄청 좋아진 것이다.
인도 여성들은 공중 화장실을 이용하지 않고 들판에서 볼일을 보는 일이 적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AFP 자료사진
인도 여성들은 공중 화장실을 이용하지 않고 들판에서 볼일을 보는 일이 적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AFP 자료사진
독립적인 설문조사 결과를 봐도 2017년 11월부터 지난해 3월 사이 농촌 가정의 77%가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으며, 93.4%는 정기적으로 화장실을 이용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내친 김에 클린 인디아 덕에 36개 주 가운데 27개 주가 노상 방뇨 관행이 사라졌다고 답했다.

그러나 화장실이 늘어난 것과 별개로 과연 실제로 방뇨가 줄었는지는 의문이라는 이들이 있다.

국립 샘플 서베이 사무국은 2016년에 새로 화장실을 설비한 가정 가운데 5%가 이용하지 않고, 3%는 물 공급이 안돼 이용하지 못한다고 전했다. 정부나 시민사회단체(NGO) 등의 보고서를 요약하면 정화조가 차오르면 5~7년에 한 번씩 폐기해야 하는 실정이며, 날림 공사에다 유지보수가 안돼 몇몇 화장실은 아예 작동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2015년 모디 총리는 모든 공립 학교 화장실이 남녀 구분이 가능해졌다고 선언했지만 지난해 연례교육보고서에 따르면 공립학교 화장실의 23% 가까이는 이용할 수 없었다.

BBC 마라티는 지난해 자체 여론조사를 실시했는데 마하라스트라주에서는 한 마을의 25% 정도 가정에는 화장실이 없어 바깥에 나가 해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BBC가 이를 보도하자 주정부가 더많은 화장실을 지어 공급했다. 아울러 이 보도 때문에 정부가 노상방뇨를 완전히 없앴다는 주장의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구자라트주 역시 2017년 10월 2일 노상 방뇨가 사라졌다고 공언했는데 1년 만에 정부 감사반은 29%의 가정에 아직 화장실이 갖춰지지 않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제 정부는 화장실 시설을 늘리는 것보다 사람들의 습관을 바꾸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우타르 프라데슈주 관리들은 BBC 인터뷰를 통해 “사람들은 화장실을 짓는다. 하지만 아직도 집의 일부로 생각하지 않는다. 어르신들은 가급적 피하려고 하는데 편안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라고 밝혔다.

지난 1월 발간된 보고서에 따르면 비하르, 마드히나 프라데슈, 라자스탄, 우타르 프라데슈 등 북부 4개주 가정에 설치된 화장실 넷 중의 하나는 여전히 노상에 분뇨를 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