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신채호 中망명 전 살았던 삼청동 집터 발견…표지석 설치한다

[단독] 신채호 中망명 전 살았던 삼청동 집터 발견…표지석 설치한다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9-02-19 17:40
업데이트 2019-02-20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업회, 칠보사 앞 주차장 공터로 추정
새달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열어 검증


망명 전 대한매일신보에 이름·주소 적어
‘집문서 분실…휴지로 처리’ 광고 내보내
이미지 확대
단재 신채호 선생이 1905년부터 1910년 중국 망명 직전까지 살았던 곳으로 추정되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 집터(삼청동 2-1). 현재 칠보사 앞 주자창으로 쓰이고 있다. 서울시는 이곳에 표지석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단재 신채호 선생이 1905년부터 1910년 중국 망명 직전까지 살았던 곳으로 추정되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 집터(삼청동 2-1). 현재 칠보사 앞 주자창으로 쓰이고 있다. 서울시는 이곳에 표지석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독립운동가이자 사학자, 언론인으로 활동하다 순국한 단재 신채호(1880~1936) 선생의 집터로 추정되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그의 업적을 기리는 표지석 설치가 추진된다. 이 집은 단재가 서울신문의 전신인 대한매일신보 주필과 황성신문 기자로 민족 정기를 진작하고 항일 투쟁을 벌이고, 항일 비밀결사조직 신민회와 국채보상운동에 적극 참여하던 1905년부터 1910년 중국으로 망명하기 전까지 살았던 곳이다.
이미지 확대
중국 뤼순 감옥에 수감된 단재 선생의 모습.  서울신문 DB
중국 뤼순 감옥에 수감된 단재 선생의 모습.
서울신문 DB
사단법인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이건흥 공동대표는 19일 “단재 선생은 1910년 조선이 국권을 상실하는 국치를 예감하고 자신이 살던 서울 종로구 삼청동 가옥을 떠나 중국 칭다오로 망명했다”며 “현재 삼청동 칠보사 앞 주차장으로 쓰이는 공터가 선생이 살았던 곳으로 추정되는데, 이곳에 표지석을 설립하는 방안을 서울시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도 “다음달 서울시 문화재위원회를 열어 단재 선생이 실제로 살았던 곳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증해 사실로 확인되면 표지석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신채호는 중국 망명 직전 주필로 있던 대한매일신보의 1910년 4월 19일자 3면에 ‘본인 소유 초가 6칸의 문권(文券·집문서)을 알지 못하는 가운데 분실하였기에 이에 광고하오니 쓸모없는 휴지로 처리하시오’라는 광고를 실었다. 광고 문안 뒤에 ‘경 북서 삼청동 이통사호 신채호 백’(京 北暑 三淸洞 二統四戶, 申采浩 白)이라고 자신의 주소와 이름을 적었다. 단재가 적시한 이 주소지는 현재 종로구 삼청동 2-1로, 중국 망명 이후 1912년까지 국유지였으나 그 이후 여러 사람의 소유를 거쳐 현재 한 불교재단법인이 소유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단재 선생이 주필로 있던 ‘대한매일신보’(현 서울신문)의 1910년 4월 19일자 3면에 실었던 삼청동 집문서 분실 광고. ‘본인 소유 초가 6칸의 문권(집문서)을 분실하였기에 이에 광고하오니 쓸모없는 휴지로 처리하시오. 경 북서 삼청동 이통사호 신채호 백’이라고 쓰여져 있다. 삼청동 이통사호는 현재 삼청동 2-1이다.  서울신문 DB
단재 선생이 주필로 있던 ‘대한매일신보’(현 서울신문)의 1910년 4월 19일자 3면에 실었던 삼청동 집문서 분실 광고. ‘본인 소유 초가 6칸의 문권(집문서)을 분실하였기에 이에 광고하오니 쓸모없는 휴지로 처리하시오. 경 북서 삼청동 이통사호 신채호 백’이라고 쓰여져 있다. 삼청동 이통사호는 현재 삼청동 2-1이다.
서울신문 DB
단재의 며느리 이덕남(76)씨는 이 광고와 관련해 “당시 독립운동가들은 나라를 위해 재산과 가족, 목숨까지 버리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다”며 “시아버지 단재 선생도 본인 소유의 집을 휴지로 처리하라고 할 정도로 어떤 미련도 없이 중국으로 독립운동을 하러 떠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는 “단재의 삼청동 가옥터가 발견됐다는 얘기는 처음 듣는다”면서 “단재 선생은 역사서 ‘조선상고사’를 통해 민족주의 사관을 정립하고 언론인으로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다가 중국 감옥에서 순국한 혁명적 독립운동가인데, 기념관은커녕 그를 기리는 표지석 하나 없다는 게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최광숙 선임기자 bori@seoul.co.kr

2019-02-20 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