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섬의 355일, 단 하루도 같은 풍경 없었다”

“밤섬의 355일, 단 하루도 같은 풍경 없었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1-17 23:14
수정 2019-01-18 0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밤섬 1년 기록’ 임순철 기록연구소장

이미지 확대
임순철 한국기록연구소장
임순철 한국기록연구소장
“1년 동안 똑같은 날이 단 하루도 없더군요. 화창한 날이어도 어제와 오늘이 조금씩 달랐어요.”

2017년 어느 날, 임순철(57) 한국기록연구소장은 사무실로 출근하다 한강의 밤섬을 바라봤다. 아침이었지만 마치 석양처럼 붉은빛이 감돌았다. 처음 보는 빛깔이었다. 밤섬의 윤곽도 뚜렷하게 살아났다. ‘이런 모습을 언제 다시 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 이는 ‘1년 동안 지켜보면 다시 이런 날을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이어졌다. 그래서 임 소장은 밤섬을 1년 동안 찍기로 했다. 출근하고 사무실 옥상으로 올라가 매일 아침 7시 30분부터 8시까지 사진을 찍었다. 어떤 날은 몹시 더웠고, 어떤 날은 아주 추웠으며, 때론 비바람 때문에 우산을 겨우 들고 셔터를 눌렀다. 최근 출간한 사진집 ‘여의도 밤섬의 아침 1년, 사진으로 기록하다´(기록연)는 이렇게 해서 나왔다. 2017년 11월 24일부터 2018년 11월 23일까지, 열흘을 빼고 임 소장이 밤섬의 355일을 담은 사진집이다.

사진 왼쪽 끝에 망원동의 당인리 발전소 굴뚝과 오른쪽 끄트머리에 N서울타워를 두고, 가운데에 밤섬이 자리한 사진은 날씨 변화를 서서히 보여 준다. 다만 정해진 구도로만 찍은 터라 약간 심심한 느낌마저 든다. 그런데 하고많은 섬 중 왜 하필이면 밤섬일까. 밤섬이 사라지는 것도 아닌데.

“만약 ‘밤섬이 5년 뒤에 사라진다´는 사실을 알고 사진을 찍었다면, 목적이 있는 기록이 됩니다. 제가 생각하는 기록이란 특정한 목적이 있어서 하는 일이 아니에요. 평범한 사물의 바로 지금을 기록하는 그 자체에 의미를 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임 소장은 자서전을 제작하는 출판사도 함께 운영한다. 의뢰를 받으면 6개월에서 1년 정도 이야기를 듣고 기록해 자서전을 만든다. 과거엔 고위 공직자, 대기업 회장 등이 고객이었지만 최근엔 보통 사람들도 많이 의뢰한다고 설명했다.

“기록은 지금까지 윗사람들의 역사였습니다. 민초들의 역사는 기록으로 남질 않았습니다. 하지만 평범한 사람도 나름의 역사가 있습니다. 위대한 분들의 이야기도 중요하지만,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하는 일도 중요합니다. 예컨대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민초들의 증언이 있죠. 그래서 우린 역사를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평범하다고 기록할 가치가 없다 할 순 없다. 평범한 사람들처럼, 평범한 밤섬도 그에겐 중요하다. 그는 사람들에게서 이야기를 듣듯, 밤섬의 이야기를 사진으로 남긴 것은 아닐까.

“자연으로서 밤섬이든 살아온 이야기로서의 자서전이든, 우리와 함께 하는 모든 것은 기록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과거의 기록을 통해 그 시대와 오늘을 이해하는 것처럼 제 기록도 후대를 위해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랄 뿐입니다.”

글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사진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2019-01-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