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신재민이 공개한 ‘적자국채 카톡’ 증거될 수 없는 이유

신재민이 공개한 ‘적자국채 카톡’ 증거될 수 없는 이유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9-01-01 16:48
업데이트 2019-01-01 18: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신재민 기재부 전 사무관
신재민 기재부 전 사무관
청와대가 적자 국채 발행을 강요했다고 폭로한 신재민(32·행시 57회)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이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라며 당시 차관보와의 카카오톡 대화 일부를 공개했다.

전날 기재부가 공식적으로 신 사무관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한 것에 대한 재반박으로 보인다.

그러나 공개된 대화 내용으로는 청와대의 개입 여부가 확인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 신 사무관은 각종 보고서와 차관보 지시 내용 등 증거를 추가로 공개하겠다고 했다. 신 사무관은 또 기재부 관련 유튜브 동영상은 10편까지 만들 생각이라고 밝혔다.

고려대 재학생과 졸업생들의 인터넷 커뮤니티인 ‘고파스’ 게시판에는 1일 ‘[신재민]국채관련 카톡 증거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지난해 11월 14일 신 전 사무관과 이름을 가린 채 직위만 나와 있는 ‘차관보’, ‘과장’ 등 3명이 있는 단체 카톡방의 대화였다.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1일 고려대 커뮤니티 ‘고파스’ 게시판에 올린 카카오톡 캡처 사진. 2019.1.1  인터넷 커뮤니티 캡처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1일 고려대 커뮤니티 ‘고파스’ 게시판에 올린 카카오톡 캡처 사진. 2019.1.1
인터넷 커뮤니티 캡처
‘차관보’라는 인물은 “핵심은 17년 국가채무비율을 덜 떨어뜨리는 겁니다”, “올해 추경부대의견 0.5조 이미 갚았는가?”라고 물었다. 대화를 캡처한 당사자는 “네 이미 상환조치하였습니다”라고 답했다.

신 전 사무관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채무비율을 덜 떨어뜨리라는 얘기는 최대한 발행하라는 뜻”이라며 “당시 국고과장이 카톡방에 없어 보고용으로 캡처해 놓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31일 신 전 사무관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기재부가 지난해 11월 15일 1조원 규모의 국채를 매입할 계획을 하루 전날 갑자기 취소한 것이 청와대와 김동연 당시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의 압력 때문이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신 전 사무관은 부총리가 적자 국채를 발행할 수 있는 최대 한도인 8조 7000억원을 모두 발행하라고 지시했으나 반대했다고 설명했다.

적자 국채를 찍어내면 이자 부담은 커지지만 내년도 경기나 고용 상황에 따라 경제정책에 투입할 수 있는 실탄을 확보한다는 면에서 장점도 있다.
이미지 확대
기재부 “국고채 조기상환 취소, 상환 시기 조정한 것”
기재부 “국고채 조기상환 취소, 상환 시기 조정한 것” 구윤철 기획재정부 2차관이 31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청와대가 KT&G 사장 교체와 적자국채 추가발행에 개입했다는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의 주장 관련 긴급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18.12.31
뉴스1
이 때문에 기재부 내부에서도 거시경제를 담당하는 쪽에서는 적자 국채 발행을 선호하는 반면 재정 건전성을 중시하는 국고국 등에서는 반대 성향이 강하다.

기재부는 적자 국채 발행 여부 및 규모를 놓고 토론이 벌어지는 것은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청와대의 강압적 지시가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지난달 31일 브리핑에서 설명했다.

다만 국채 발행은 청와대 경제수석실과 충분히 상의할 수 있는 주제라는 게 기재부의 입장이다.

한 기재부 관계자는 “신 전 사무관은 국채 발행은 오직 국고국에서 결정할 사항이라고 보는 입장 같다”며 “그러나 국채시장은 물론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살펴 여러 담당자의 토론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국가경제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신 전 사무관은 2일 또는 3일에 추가 증거를 공개하겠다고 예고했다. 그는 “청와대 관련 추가 폭로나 KT&G 건 증거는 더 없다”며 “영상은 10편까지 생각 중이고 3편 이후로는 기재부 관련 이야기, 공무원 조직 구조, 예산 결정 과정, 법안 등에 대한 이야기로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내용을 담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