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인니 순다 해저서 산사태… 3m 쓰나미 덮쳐 최소 1000여명 사상

인니 순다 해저서 산사태… 3m 쓰나미 덮쳐 최소 1000여명 사상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18-12-23 22:40
업데이트 2018-12-24 0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35년 전 3만여명 희생시킨 화산 분화
밤 9시 내륙 15~20m까지 해일 밀어닥쳐
건물 수백 채 파손… 주민들 혼비백산 대피
대조기 맞아 만조 수위 높아져 피해 커져
한국 관광객 7명 안전지대로 피신 확인
이미지 확대
지난 22일 밤 인도네시아 순다해협 일대를 강타한 쓰나미로 23일 현재 222명이 숨진 가운데 20m 높이의 해일이 덮친 카리타의 한 마을에서 구조대가 붕괴된 가옥 더미에서 발견한 사망자를 옮기고 있다.  카리타(인도네시아) AFP 연합뉴스
지난 22일 밤 인도네시아 순다해협 일대를 강타한 쓰나미로 23일 현재 222명이 숨진 가운데 20m 높이의 해일이 덮친 카리타의 한 마을에서 구조대가 붕괴된 가옥 더미에서 발견한 사망자를 옮기고 있다.
카리타(인도네시아) AFP 연합뉴스
“거리는 온통 사람들로 가득 차 있었다. 곳곳에서 쓰나미를 외치는 목소리가 들렸고 공포심에 빠져 언덕으로 대피했다.”

인도네시아 현지 일간 콤파스는 지난 22일 밤 순다해협을 예고 없이 강타한 쓰나미 목격담을 23일 이같이 전했다. 지난 9월 규모 7.5의 강진과 쓰나미가 덮쳐 최소 2200여명이 숨진 술라웨시섬 참사 3개월 만에 쓰나미가 인도네시아를 또다시 할퀸 것이다.

인도네시아 국가재난방지청(BNPB)은 이날 “순다해협 일대를 덮친 전날 쓰나미로 최소 222명이 숨지고 843명이 다쳤으며 28명이 실종됐다”고 밝혔다. BNPB에 따르면 순다해협 주변 해안에 전날 오후 9시 27분을 전후해 최고 3m 높이의 쓰나미가 덮쳐 내륙 15∼20m 지점까지 해일이 밀어닥쳤다. 해안에 있던 차량이 뒤집히고 건물 수백채가 파손되면서 혼비백산한 주민들이 앞다퉈 고지대로 대피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무너진 건물에 깔린 주민들에 대한 구조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미지 확대
인근 반텐주 스랑의 안예르 해변 호텔에 있었던 한 주민은 콤파스에 “바닷물이 빠지더니 10분쯤 뒤 큰 파도가 밀려왔다. 호텔 안까지 물이 들어왔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반텐주 탄중 르숭 해변에선 현지 록밴드 ‘세븐틴’의 콘서트 현장이 쓰나미에 휩쓸려 베이스 연주자와 매니저, 관람객 등 최소 7명이 숨지고 다수가 실종됐다.

인니 기상기후지질청(BMKG)은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상에 있는 대조기(사리)를 맞아 만조 수위가 높아진 상황에서 쓰나미가 겹쳐 피해가 커졌다고 추정하고 있다. 쓰나미 원인으로는 순다해협의 작은 화산섬인 ‘아낙 크라카타우’의 분화로 인한 해저 산사태가 지목된다. 콤파스에 따르면 자바섬과 수마트라섬 사이에 위치한 아낙 크라카타우는 1883년 8월 27일 대규모 폭발을 일으킨 크라카타우가 사라진 자리에서 45년 뒤 해수면 위로 새롭게 솟은 섬이다. 당시 폭발로 상공 20㎞까지 연기 기둥이 뿜어졌고, 폭음은 4500㎞ 떨어진 호주에서도 감지됐다. 이 폭발로 3만 6000여명이 숨졌으며, 전 세계 기후를 교란시키며 기근 발생의 원인이 됐다. 드위코리타 카르나와티 BMKG 청장은 “지난 9월 술라웨시섬 팔루 지역을 덮쳤던 대형 쓰나미와 마찬가지로 해저 산사태가 쓰나미를 유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은 전날 오후 5시 22분쯤 정상에서 1500m 높이까지 연기를 뿜어냈고 9시 3분 재차 분화했다.

한편 주인도네시아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반텐주 세랑 지역 안예르 해변에 있던 한국인 관광객 7명이 쓰나미에 놀라 안전지대로 피신한 외에 한국인 피해 사례는 접수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한 인도네시아는 지진과 화산 분화, 쓰나미 피해가 자주 발생했다. 2004년에는 수마트라섬 연안에서 규모 9.1의 대지진과 대형 쓰나미로 인해 인도네시아에서만 12만명이 숨졌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8-12-24 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