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 자민당, 韓 징용배상 판결 비난 결의문 무산

日 자민당, 韓 징용배상 판결 비난 결의문 무산

김태균 기자
입력 2018-11-13 22:34
업데이트 2018-11-13 22: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野 “올바른 해결책 찾아야” 제동

‘징용공→노동자’ 日서도 비판 여론

일본 자민당이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국회 차원의 비난 결의문 채택을 시도했지만 야당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가 ‘징용공’이라는 기존의 표현을 ‘노동자’로 바꿔 부르기로 한 데 대해 일본 내부에서도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13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집권 자민당은 지난달 30일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비난하는 내용의 국회 결의문 채택을 추진했다. 그러나 공산당의 시이 가즈오 위원장이 “(비난 결의보다는) 올바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하는 등 이의를 제기하면서 무산됐다. 국회 결의문은 만장일치일 때만 채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일본 국민 10명 중 7명은 한국의 징용 배상 판결에 대해 납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HK가 전국 성인 남녀 1215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9%가 ‘납득할 수 없다’고 답했다. 19%는 ‘어느 쪽도 아니다’라고 했고, ‘납득할 수 있다’는 응답은 단 2%에 불과했다. 일본 정부가 “한국 측이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으면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도 검토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절반 이상인 56%가 제소에 찬성한다고 했다. 제소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5%에 그쳤다.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아베 신조 총리를 비롯해 일본 정부가 한국의 징용 피해자들을 지금까지의 ‘징용공’ 대신 ‘구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바꿔 부르기로 한 데 대해 일본 내부에서도 역사를 왜곡하는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도쿄신문은 이날 조간에서 “징용공에서 노동자로 호칭을 변경하는 것은 소송 원고(피해자)들이 스스로 노동에 응했음을 부각시켜 강제성을 희석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이에 대해 ‘역사를 왜곡하는 행위’라는 지적이 분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신문은 “(아베 총리 등의 태도는) 자기 편한대로 말을 만들어 팩트를 바꾸고 사물의 본질을 숨기려는 행동”이라는 역사학자 다케우치 야스토의 평가를 실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18-11-14 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