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靑 “한·미, 같은 길 가고 있다… 김정은 연내 답방 여전히 가능”

靑 “한·미, 같은 길 가고 있다… 김정은 연내 답방 여전히 가능”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8-10-22 17:40
업데이트 2018-10-22 18: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미 대북제재 완화 갈등설 적극 반박
“가는 과정 좀 달라도 방향·목표는 같다”
한국, 美 대신 北유인책 제시 역할 맡아


“북·미 정상회담 내년 연기 안 정해져”
미뤄져도 남북 관련 일정은 예정대로
文대통령, 참모에게 “걱정하지 마세요”
이미지 확대
아셈회의장 밖 文대통령과 정의용 실장… 靑 ‘B컷’ 공개
아셈회의장 밖 文대통령과 정의용 실장… 靑 ‘B컷’ 공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9일 벨기에 브뤼셀 아셈 회의장 밖에서 의자에 앉아 턱을 괴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있다. 청와대는 22일 문 대통령의 유럽 순방 중 수행원이 휴대전화로 찍은 ‘B컷’을 공개했다.
청와대 제공
대북 제재 완화 문제를 두고 한·미 갈등설이 일부 언론을 중심으로 불쑥불쑥 제기되자 청와대가 한·미 공조에 이상기류는 없다고 적극 반박에 나섰다.

청와대는 또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지연 가능성과 함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도 미뤄질 수 있다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 연내 답방 가능성은 여전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2차 북·미 정상회담 연내 개최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고 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2일 기자들과 만나 대북 제재 완화와 관련해 “미국 내에도 다양한 의견은 존재할 수 있고 절차적으로 좀 다를지라도 방향과 목표가 같아서 우리를 신뢰한다”며 “가는 과정은 좀 다를지라도 결국 같은 길로 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우리가 미국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미국이 협상의 지렛대가 될 수 있는 대북 제재 완화 카드를 먼저 꺼낼 수 없는 상황에서 한국이 미국을 대신해 전략적으로 북한에 유인책을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프랑스와 영국 등을 상대로 유엔 대북 제재 완화 필요성을 설파한 데 대해 미국 정부가 입장을 내놓지 않은 것과 관련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미국이 비판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했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이에 적어도 대북 제재 완화에 대한 공감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제재 완화 없이는 협상 진전이 안 된다는 것을 미국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일부에서 내년 1월 이후 북·미 정상회담이 이뤄진다고 보도하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익명의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것”이라며 “북·미가 2차 정상회담을 위해 다양하게 의견을 교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고위 관계자도 “2차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3~4군데를 얘기하고 있는 것 같다”며 깊숙한 정보를 갖고 있음을 시사했다.

고위 관계자는 특히 “김 위원장의 연내 방한은 여전히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미국의 정치적인 상황 때문에 내년으로 순연되더라도 남북 관계 관련 일정이 뒤로 밀리진 않을 것이란 얘기다.

또 다른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일정이 그런 순서대로(연내 종전선언 후 김 위원장의 답방) 정해져 있는 건 아니다”라면서 “다만 김 위원장이 답방하기 전에 종전선언이 이뤄지면 훨씬 더 의미가 있고 남북 간에도 큰 폭의 깊은 대화와 합의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도 현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고위 관계자는 밝혔다. 그는 “참모들이 걱정하면 대통령이 오히려 ‘걱정하지 마세요’라고 한다”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큰 틀에선 맞는 길로 가고 있다는 확신과 자신감이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10-23 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