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30 세대] 민족주의를 변호하다/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3학년

[2030 세대] 민족주의를 변호하다/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3학년

입력 2018-10-11 17:32
업데이트 2018-10-11 18: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은 어딜 가나 근대국가의 발명품인 민족주의(nationalism)가 좋은 소리를 듣지 못한다. 2002년과 비교하면 상전벽해라 할 만하다. 민족주의가 다원성을 무시한다는 지식인들의 비판이 먼저였고, 그 후 청년들이 가세했다. 이들은 민족주의의 폭풍과 강요된 애국이 삶의 질과는 별 관계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한편 역사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한국인들 안에 수많은 이민족이 녹아들었다는 것이 알려졌고, “세계 유일의 단일민족”이라는 것은 그저 신화라는 것도 밝혀졌다. 동시에 대거 유입된 이주민들로 인해 대한민국과 한민족의 경계도 흐려졌다. 이제 전통적 민족주의는 생각이 굳은 50대 이상에서야 간신히 힘을 발휘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3학년
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3학년
하지만 중동, 이슬람을 공부하다 보면 민족주의가 나쁘기만 한가라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대체로 이 지역에서 고통을 야기한 것은 민족주의 과잉이 아니라 민족주의 결핍이었기 때문이다. 한 국가 아래에서 영토와 역사를 공유하는 국민이라는 소속감보다는 부족과 종교라는 소속감이 더 지배적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서구에 의해 강제로 이식된 국가 체제는 제대로 돌아갈 수가 없었다.

중동의 정치인들은 국민을 대표한다지만 그 ‘국민’은 특정 부족이나 종파의 구성원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각 부족은 국가의 자원을 더 많이 확보하려고 경쟁적으로 부패를 저질렀고, 갈등이 임계점을 넘어서면 내전으로 이어지기까지 했다. 국가를 넘어선 정체성도 문제를 일으키는 건 마찬가지였다. 이슬람은 분명 민족과 언어에 무관하게 사람들을 포용하는 종교였다. 하지만 이 점은 양날의 칼이었다. 이슬람의 이름 아래 국경을 넘어서는 지하드 전사들의 연대가 구축됐기 때문이다.

오늘날 서유럽과 북미의 정치적 위기는 그래서 국가적 연대의식을 확보하지 못해 발생한 중동의 위기와 유사점이 많다. 먼저 유럽연합은 국민 대신 “유럽인”을 만들어 냈는데, 이들은 다수 국민과는 관계없는 엘리트들이어서 그들의 정책은 각국 국민의 삶과 유리되고 있다. 사회 하층에서는 다양한 문화가 섞일 때 포용적 태도가 자리잡을 것이라는 기대가 여지없이 무너졌다. 국민국가가 제시하던 공동선은 사라졌고, 사회는 다양한 정체성의 그룹들로 쪼개져 누가 국가로부터 더 많이 자원을 받아가는지를 두고 경쟁 중이다. 그 결과 찾아온 것이 유럽 각국의 포퓰리즘 운동이다.

나는 그래서 우리를 억눌렀던 민족주의의 퇴조가 반가우면서도 두렵다. 민족은 분명 상상된 공동체고, 실체가 아니다. 하지만 그 상상은 유난히 효율적이어서 관계없는 사람들을 묶어 서로 협력하게 만들었다. 그 상상이 사라진 자리에서 우리는 더 나은 협력 기제를 발명할 수 있을까? 진보 지식인들이 상상한 세계시민주의 공동체는 엘리트들의 전유물이 된 것 같다. 대신 현재로서는 대다수의 사람이 마주쳐야 할 세상은 중동에서 보다 명확히 보인다. 다양한 정체성으로 쪼개져 협력의 이점은 사라진 혼돈의 세상 말이다.

2018-10-12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