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바이올리니스트들은 왜 ‘프랑크 소나타’를 좋아할까

바이올리니스트들은 왜 ‘프랑크 소나타’를 좋아할까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8-10-04 18:19
업데이트 2018-10-06 07: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리사이틀 대표 레퍼토리... 클라라 주미 강,라두로비치 등 연이어 연주

이미지 확대
클라라 주미 강&알레시오 백스
클라라 주미 강&알레시오 백스 에투알클래식 제공
베토벤,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와 함께 3대 바이올린 소나타로 꼽히는 세자르 프랑크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A장조’가 바이올린 리사이틀에서 자주 연주된다는 것이 새삼스러운 얘기는 아니다. ‘크로이처’, ‘봄’ 등 표제가 붙은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와 함께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는 바이올린 리사이틀의 대표적인 레퍼토리로 꼽힌다. 올해는 우리나라 인기 연주자들은 물론 해외 아티스트들까지 내한 프로그램에 이 곡을 포함해 더욱 눈길을 끈다.

앞서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피아노 손정범), 김수연(피아노 선우예권) 등의 8월 공연, 정경화·조성진의 9월 전국 투어 리사이틀에 이어 클라라 주미 강의 10월 전국 투어에서도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를 들을 수 있다. 해외 연주자 중에는 전 베를린필 악장 출신 콜야 블라허(4일)와 세르비아 출신 네만야 라두로비치(9일) 등이 프랑크 소나타를 내한 프로그램에 포함시켰다.
이미지 확대
네만야 라두로비치ⓒCharlotte_Abramow/DG
네만야 라두로비치ⓒCharlotte_Abramow/DG 마스트미디어 제공
연주자들은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성격이 대비되는 곡을 각각 배치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예컨대 블라허는 이번 내한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1부에서 매우 거칠고 유머러스한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3번과 러시아의 정치적 상황이 많이 반영됐고 높은 난도를 요구하는 쇼스타코비치 바이올린 소나타를 연주하고, 너무 강한 곡만을 연주할 수 없기 때문에 2부에서는 프랑크 소나타를 연주하기로 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 곡은 프랑크가 당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외젠 이자이에게 헌정해 그의 결혼식에서 초연된 곡이다. ‘결혼’을 매개로 탄생한 작품인 만큼 듣는 이에게 사랑과 낭만의 분위기를 가득 느끼게 한다. 1악장은 무엇인가 베일에 싸인듯한 신비로운 분위기로 시작해 감정의 교차를 지나 마지막 4악장은 결혼식장의 신랑·신부를 떠올리게 하는 사랑스러운 캐논 형식으로 마무리한다. 프랑크 음악의 특징인 순환형식도 담겨있다. 블라허의 설명처럼 강한 색깔이나 고전파, 단조의 곡과 대비시키기에 적절한 레퍼토리인 것이다.
피아노가 상대적으로 바이올린보다 우위에 있던 베토벤 이전 시대의 바이올린 소나타와 달리 베토벤 때부터는 바이올린의 위상이 피아노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올라간 경우가 대부분이다. 바이올리니스트로서는 자신의 기량을 뽐낼 수 있는 여러 요소를 갖고 있어 프랑크 소나타는 더욱 매력적이다. 하지만 때로는 바이올리니스트 뒤에 앉은 피아니스트가 곡의 색깔을 바꾸기도 한다. 이 때문에 바이올리니스트로서는 파트너 선정에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세자르 프랑크
세자르 프랑크
주미 강도 이 곡에서 피아니스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4일 서울 예술의전당부터 시작하는 전국 리사이틀을 앞두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그는 “1년에 한번은 무대에서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를 연주하는데, 연주를 준비할 때마다 다르게 느껴진다”면서 “이 곡은 피아니스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어떤 피아니스트를 만나느냐에 따라 색깔도 바뀐다”고 설명했다. 이탈리아계 피아니스트 알레시오 백스와 함께 하는 이번 전국 투어 연주회에서는 드뷔시와 부조니의 바이올린 소나타, 이자이의 ‘슬픈 시’ 등도 선보인다.

한정호 음악평론가는 “바이올리니스트들은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를 꼭 연주하고 싶어하는데, 좋은 피아니스트들을 만나면 그때 연주하고 싶다며 아껴두는 곡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