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3일 걸리는 ‘실종 지적장애인’ 수색, 1시간대로 줄인다

3일 걸리는 ‘실종 지적장애인’ 수색, 1시간대로 줄인다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8-09-21 11:29
업데이트 2018-09-21 1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 “지적장애인에도 배회감지기 지급”

지난달 2일 오전 11시 20분쯤 서울 금천구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치매 노인 A(84·여)씨를 시민이 발견한 뒤 경찰에 신고했다. A씨는 폭염 속에서 지친 상태로 의사소통이 곤란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경찰은 A씨가 ‘배회감지기’(위치추적기)를 차고 있는 것을 확인한 뒤, 배회감지기 일련번호를 조회해 신원을 확인한 뒤 보호자에 인계했다. A씨가 보호자 품에 돌아가기까지 걸린 시간은 불과 40분밖에 안 걸렸다.

지난 7월 13일 오후 4시쯤 경기 안성의 치매 노인 B(78)씨가 “집을 나갔다”는 신고가 경찰에 접수됐다. 다행히 B씨는 배회감지기를 착용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배회감지기 추적을 통해 B씨의 위치를 파악한 뒤 주변 수색에 나서 18분 만에 풀 숲에 쓰러진 B씨를 발견했다. 경찰은 보호자에게 연락을 한 뒤 곧바로 B씨를 병원으로 옮겼다. 경찰 관계자는 “하마터면 큰 일 날 뻔 했다”면서 “배회감지기가 사람을 살린 셈”이라고 말했다.

경찰이 메모리 반도체 기업과 협력해 현장에 보급한 배회감지기가 치매 노인의 생명을 살리는 데 큰 기여를 하자 보급 대상을 지적장애인까지 넓히기로 했다. 치매 노인의 실종 문제 못지 않게 지적장애인의 실종도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적장애인 실종 신고 접수 건수는 2014년 7724건에서 지난해 8525건으로 3년 새 10.4% 증가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접수된 지적장애인 실종 신고 건수는 6073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73명이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또 가족들이 지적장애인의 지문을 경찰서에 미리 등록해 놓았다면 발견까지 평균 63분 걸리지만, 지문 등록을 안 해놓으면 평균 76시간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올해 같은 기간 실종된 치매 노인은 8148명으로 지적장애인보다 34.2% 많았지만 소재 파악이 안 된 노인은 9명에 그쳤다. 배회감지기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실종 치매 노인 중 배회감지기를 통해 발견된 노인은 15명에 달한다. 경찰 관계자는 “배회감지기를 착용한 실종 노인은 전원 발견됐다”면서 “평균 발견 시간도 66분으로 전체 치매노인 발견에 걸리는 11.8시간(708분)에 비해 10시간 넘게 단축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민갑룡 경찰청장은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에서 열린 ‘배회감지기 무상보급 협업기관 간담회’에서 배회감지기를 지원하는 SK하이닉스의 박성욱 부회장과 보급 대상 확대 논의를 했다. 민 청장은 “배회감지기 보급 대상 확대로 치매노인과 지적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