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융위기 후 10년’ 한국경제 역동성이 없다

‘금융위기 후 10년’ 한국경제 역동성이 없다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8-09-16 22:30
업데이트 2018-09-16 2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환보유 2배↑…고용 악화·성장 부진
“미래 먹거리 없어 제3 위기 직면 우려”


“미국에선 구글과 같은 기업이 판을 흔들지만 한국 경제는 반도체와 자동차, 20년째 같은 먹거리다.”(주원 현대경제연구소 경제연구실장)

“한국 금융의 외형만 놓고 보면 건실해졌지만 세계적인 투자은행(IB)이 나올 환경을 만들지 못했다는 점에선 낙제점이다.”(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

2008년 9월 15일 세계 4위의 IB인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했다. 1998년 외환위기를 극복한 자신감에 차 있던 한국 경제는 또 휘청거렸다. 그리고 10년. 한국 경제는 순항하는 듯 보인다. 2008년 12월 2004억 달러였던 외환 보유액은 지난 8월 말 4011억 달러로 2배 늘었다. 경상수지 흑자는 올 7월까지 384억 달러로 이미 2008년(31억 달러) 수준을 넘어섰다.

하지만 곳곳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20만~30만명 대를 오르내리던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 7월과 8월 각각 5000명, 3000명에 그치는 ‘고용 참사’가 빚어졌다. 우리는 이미 3.0%에서 2.9%로 낮춘 올해 성장률 목표마저 버거워하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를 “세계 경제 위기로 죽기보다, 고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한다. 지난 10년 동안 안정성을 강화하는 대신 역동성을 잃었다는 의미다. 2010년 전체 수출액의 10.9%를 차지했던 반도체가 지난달에는 무려 22.5%를 책임졌다.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지 못한 상황에서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막을 내리면 외환위기와 금융위기에 이은 세 번째 위기가 닥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8-09-17 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