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새벽 2시 30분 일어난다는 월버그, 모두가 그를 따라야 할까

새벽 2시 30분 일어난다는 월버그, 모두가 그를 따라야 할까

임병선 기자
입력 2018-09-16 06:02
업데이트 2018-09-16 06: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할리우드 스타이자 두 차례 아카데미상 후보에 지명된 마크 월버그가 저녁 7시 30분쯤 잠자리에 들어 새벽 2시 30분쯤 일어나 하루를 시작한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그는 90분 동안 운동과 골프, 기도로 하루를 시작하고 냉동 수면기(cryo-chamber)에 들어가 몸을 회복한다고 밝혔다.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팀 쿡도 새벽 3시 45분에 일어나며 디즈니 회장인 밥 이거도 새벽 4시 25분 운동을 한다고 밝혔다. 둘의 ‘얼리 버드’ 성향은 미국프로농구(NBA) 선수들로 하여금 아침 일찍 체육관으로 발길을 옮기게 만들었다고 영국 BBC는 14일(현지시간) 전했다.

‘성공하려거든 일찍 일어나라’고 강요하는 것 같다. 그렇다고 우리 모두가 슈퍼 얼리 버드가 되어야 할까? 이렇게 하면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까? 하지만 이렇게 일찍 일어나면 대가가 따른다.

우선 왈버그가 새벽 2시 30분에 일어난다고 하면 정말 긴 하루를 보내고 잠을 안 잘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는 매일 밤 7시간의 잠을 잔다. 건강을 위해 권장하는 일이다. 생산성에도 직결된다. 잠이 부족하면 건강이나 인지능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워싱턴 대학의 크리스토퍼 반스와 미시건 대학의 그레첸 스프라이처 교수는 기업들이 직원들로 하여금 충분히 잠을 잘 수 있게 만드느냐를 정밀하게 들여다보는 연구자들이다. 스프라이처 교수는 우선 왈버그처럼 일찍 일어나면 다른 가족의 방해를 받지 않고 온전히 스스로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저녁에 일찍 잠자리에 들어야 해 희생할 게 적지 않다. 좋은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사교 네트워크와 강력한 사회관계를 발전시킬 능력을 희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연구자들은 인간의 수면 습관을 기준으로 두 가지 유형, 종다리형과 올빼미형으로 나눈다. 반스 교수는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은 나이에 따라 다른 유형을 보인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어릴 적에는 종다리, 나이가 좀 더 들면 올빼미가 됐다가 노년에 접어들면 다시 종다리가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이가 든 사람이라도 새벽 2시 30분에 일어나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반스 교수는 “심리적으로나 습관적으로나 자신의 자연스러운 주기 리듬에 맞춰 하루를 보내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극단적인 스케줄을 갖고 있다고 모든 사람에게 떠벌이는 이들은 뭔가 다른 동기를 숨겨놓고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왜 사람들은 일찍 일어나는 것을 자랑하려 하는가? 자신의 생산성이 높다는 점을 내보이려는 환상에 사로잡힌 것은 아닐까? 나아가 많은 사회집단은 일찍 일어나는 사람을 좋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편견을 갖고 있다.

2014년의 한 연구는 120명의 일하는 성인들을 조사한 결과 늦게 일어나는 사람들은 상사의 업무 능력 평가에서 더 나쁜 점수를 받고 성실함에서 부족한 직원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문제는 올빼미형인 상사일수록 자신과 같은 유형의 직원들을 더 부정적으로 바라본다는 것이었다.

반스 교수는 “사람들은 작업 스케줄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놓고 편견을 갖고 있다. 일찍 하루를 시작할수록 좋은 평가를 받는다”며 “이런 평가를 극대화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나? 결국 사람들을 감명시키려고 노력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하루를 마감하며 몸이 들려주는 얘기에 귀 기울이면 언제 쉬어야 할지 알 수 있다. 하루를 일찍 시작하면 스스로가 더 생산적이라고 여기게 된다. 그러면 왜 자신이 그일을 하는지, 진짜로 좀더 많은 것이 이뤄졌는지를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어떤 이유가 됐든 건강이 최우선이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