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안보 불안감 사라진 자리에 성폭력 불안감이

안보 불안감 사라진 자리에 성폭력 불안감이

신형철 기자
입력 2018-09-06 17:42
업데이트 2018-09-06 17: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상반기 남북 화해 국면이 이어지면서 우리 국민들의 안보 불안감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세먼지와 미투 운동의 여파로 환경오염·성폭력 분야의 불안감은 커졌다.
행정안전부 제공
행정안전부 제공 행정안전부의 조사 결과 국민들의 안보 불안감은 낮아진 반면 성폭력 불안감은 높아졌다.
6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국민안전 체감도조사’에 따르면 사회전반 안전 체감도는 2.86점으로 지난해 하반기 2.77점보다 0.09점 상승했다. 특히 안보위협 유형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2.55점보다 0.4점 오른 2.95점을 기록해 16% 올랐다. 올해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잇따라 열리면서 평화 분위기 조성이 안보 불안을 줄이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원전사고 분야도 탈원전 정책의 영향으로 3.00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반면 환경오염 분야와 성폭력 분야는 각각 2.27점, 2.44점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봄철 미세먼지가 확산되고 111년만의 폭염이 몰아친 점과 성폭력 사건·미투 사태가 확산된 점이 해당분야의 불안감을 높인 것으로 보고 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남북 평화 국면과 원전 축소가 불안감을 낮춘 긍정적 요소로 작용했을 것으로 본다”면서 “환경, 성폭력 분야의 점수가 좋지 않게 나온 것은 안희정 사건 등 미투 확산된 점과 올 여름 혹서를 겪은 국민들이 이제 환경에 대처하기는 역부족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탓이 클 것”이라고 해석했다.

행안부는 올해 처음으로 ‘주체별 위험관리 역량 수준‘도 함께 조사했다. 정부 차원에서는 소방청과 해양경찰청이 높은 점수를 기록한 반면, 지방자치단체는 낮은 점수를 받았다. 민간 분야에서는 ’민간기업‘이 일반국민과 전문가 평가에서 모두 ‘개인’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해 혹평을 받았다. 행안부 관계자는 “민간기업이 가장 낮게 나온 게 특이할 만하다“면서 “상반기에 라돈 침대 사태 등이 영향을 줬을 것으로 추측한다”고 말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