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어른도감

김인선 감독은 좋아하는 소설로 에밀 아자르(로맹 가리)의 ‘자기 앞의 생’을 꼽았다. 열네 살 소년 모모의 성장기라고 할 수 있는 이 작품을 애독한다는 말을 들으니, 그녀가 왜 열네 살 소녀 경언(이재인)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 ‘어른도감’을 만들었는지 이해가 된다. 하지만 아이만으로 이야기는 진행되기 어렵다. 아이가 커 나가는 데는 어른이 필요하다. 모모 곁에는 하밀 할아버지와 로자 아줌마가 있었다. 그럼 경언 곁에는 누가 있나. 재민(엄태구) 삼촌과 점희(서정연) 아줌마다. 그리고 두 작품은 공통적으로 이런 물음을 제기한다. “사람은 사랑 없이도 살 수 있나요?” 모모처럼 경언도 어른들과 관계를 맺으며 이에 대한 답을 찾는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정답이야 뻔하다. 분명 이 영화는 사람은 사랑 없이 살 수 없다는 결론을 내놓을 것이다. 그런데 거기까지 이르는 과정이 뻔하지 않다. 우선 경언의 입장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정리해 보자. ①아빠가 숨을 거뒀다. ②경언이 어렸을 때 자취를 감춘 엄마의 행방은 묘연한 상태다. ③얼굴도 본 적 없는 삼촌이 갑자기 나타나 경언의 보호자를 자처한다. ④예감이 좋지 않았는데 역시나 삼촌이 아빠의 사망보험금을 가로챈다. ⑤자기 빚을 갚는 데 그 돈을 다 써버린 삼촌. ⑥경언이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하자 삼촌은 자신이 세운 계획을 털어놓는다. ⑦부자인 점희 아줌마를 유혹해 돈을 얻어낼 테니 경언도 동참하라고 말이다.

이로써 ‘어른도감’은 부녀를 가장한 ‘삼촌·조카 사기단’의 행태를 보여 주는 것으로 넘어간다. 한데 여기에는 큰 문제가 하나 있다. 이들이 어리숙하다는 점이다. 경언은 말할 것도 없고 재민마저 그렇다. 두 사람은 비정하지 않다. 경언의 경우는 특히 더 심하다. 삼촌의 신분증을 미리 캡처해 둘 만큼 영악하고, 그의 급소를 걷어찰 정도로 당차지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람을 수단으로 대하는 짓은 못 한다. 경언은 연기를 하면서도 점희 아줌마에게 진심을 내어 줬다. 재민도 실은 그랬던 것 같다. ‘삼촌·조카 사기단’ 공작이 수포로 돌아갈 것임은 틀림없어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범죄의 실패이지 그들의 실패가 아니다.

경언과 재민은 (심지어 점희마저도) 이전보다 더 괜찮은 삶을 살 수 있을 테다. 서로 진짜 마음을 담아 오랜 시간을 공유했기 때문이다. 예전에 재민은 협잡을 정당화하며 경언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었다. “누군가에게 시간을 들인다는 건 다시는 돌려받지 못할 삶의 일부를 주는 거야.” 이후 경언은 그 말을 재민에게 이렇게 돌려준다. “나도 점희 아줌마도 똑같이 우리 시간 나눠 준 거예요.” 세 사람은 다시는 돌려받지 못할 삶의 일부를 나눴다. 그것을 사랑이 아니라면 대체 뭐라고 부를 수 있을까. ‘자기 앞의 생’의 마지막 문장 “사랑해야 한다”를 ‘어른도감’은 이토록 근사하게 변주했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