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南에선 작약 北에선 함박꽃…식물들 절반 이름이 달라요

南에선 작약 北에선 함박꽃…식물들 절반 이름이 달라요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8-08-15 17:52
업데이트 2018-08-15 19: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3523종 비교…北, 비속어 배제·외래어 순화 등 특징

꽃이 크고 탐스러워 원예용으로 인기가 높은 ‘작약’이 북한에서는 ‘함박꽃’으로, ‘기생꽃’은 ‘애기참꽃’으로 불린다.
이미지 확대
작약
작약
이미지 확대
소경불알
소경불알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15일 북한지역 식물 3523종이 담긴 ‘조선식물지’를 우리의 ‘국가생물종목록’과 비교한 결과 절반(50.3%)을 웃도는 1773종의 식물명이 달랐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 북한은 식물명에 비속어나 외래어, 지역명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속어 사용 배척에 따라 ‘소경불알’은 ‘만삼아재비’로, ‘며느리배꼽’은 ‘참가시덩굴여뀌’로 각각 불렀다. 국내에서도 부르기 민망한 비속어라 접근성이 떨어지는 식물 이름을 바꾸자는 여론이 일고 있다는 점에서 ‘이름 통일화’를 시도해 볼 만하다.

외래어 순화에 맞춰 ‘라일락’은 ‘큰꽃정향나무’로, 지역명 사용을 꺼려 ‘대구돌나물’은 ‘바늘돌나물’로 명명하고 있다. 두음법칙 미사용으로 ‘연복초’는 ‘련복초’로, 합성명사(~나무·~풀 등)를 붙이면서 ‘무궁화나무’, ‘노루귀풀’ 등으로 우리와 차이가 있었다.

또 우리나라는 식물명을 최초로 부여한 문헌을 인정하는 반면 북한은 국가 또는 일부 학자에 의해 제시된 통일된 정책적 기준으로 식물명이 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조선식물지에 수록된 식물 중 북한에서만 자라는 고유종은 장군풀, 쌍실버들 등 58종으로 집계됐다. 우리 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식물이 314종이었는데, 이는 남북 간 학술적 교류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생물자원관은 분류학적으로 재검토가 필요한 139종을 제외한 175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하고, 연구 결과를 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집 북한지역 관속식물’을 발간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8-08-16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