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색다른 인터뷰] “난 한국인 피를 가진 일본인… 한·일 관계 작은 ‘키맨’ 될 것”

[색다른 인터뷰] “난 한국인 피를 가진 일본인… 한·일 관계 작은 ‘키맨’ 될 것”

김태균 기자
입력 2018-08-05 17:44
업데이트 2019-05-28 17: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속 조선 도공 후예 ‘15대 심수관’

이름·역사 함께 물려받는건 숙명·사명
심수관요전 열고 한·일 문화교류 앞장
“日, 한국 이해·관심 서서히 개선될 것”
이미지 확대
제15대 심수관(본명 심일휘)이 지난달 12일 일본 도쿄 신주쿠구 요쓰야에 있는 한국문화원에서 진행된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숙명을 따르고 지켜 온 자신의 인생 궤적과 420년 전통의 사쓰마도기, 한·일 관계의 미래 등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제15대 심수관(본명 심일휘)이 지난달 12일 일본 도쿄 신주쿠구 요쓰야에 있는 한국문화원에서 진행된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숙명을 따르고 지켜 온 자신의 인생 궤적과 420년 전통의 사쓰마도기, 한·일 관계의 미래 등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서른 살쯤에 김칫독 만드는 걸 배우러 경기도 여주에 갔습니다. 가자마자 어떤 분이 저에게 ‘400년 된 일본의 때를 벗겨 내고 한국의 혼을 품으라’고 하시더군요. 일본에서는 조선의 성(청송 심씨)을 쓴다고 ‘조센징’으로 불렸는데, 한국에선 제가 나고 자란 일본을 부정하라고 하니 이걸 어쩌나요. 우리(심수관가)는 그렇게 살아왔습니다. 아직도 많은 분들이 저에게 한국 사람이냐고 묻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답하지요. ‘아니요, 저는 분명히 일본 사람입니다. 그런데 피는 한국 사람입니다’라고.”

기록적인 무더위가 찾아온 올여름을 제15대 심수관(59·본명 심일휘)은 여느 해보다 분주하게 보내고 있다. 한·일 국교 정상화 53주년을 기념해 지난 6~7월 ‘사쓰마도기 420년: 심수관요(窯)전’을 개최했고, 오는 10일에는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20주년을 맞아 구성되는 일본 내 전문가 모임 ‘일·한 문화인적 교류를 추진하는 심의회’에 참여한다. 그를 만난 것은 심수관요전 마지막 날인 지난달 12일 도쿄 신주쿠의 한국문화원에서였다. ‘일본에 뿌리내린 조선 도공의 제15대 적자’이자 ‘일본의 3대 도자기를 대표하는 장인’이라는 다소 부담스러운 타이틀과 달리 그는 ‘큰형님’과 같은 호방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습명(이름을 물려받음)을 한 지 내년이면 20년. 그는 세상을 바라보는 식견과 안목, 그리고 자신이 부여받은 ‘숙명’과 ‘사명’을 자기만의 언어로 풀어내는 법을 알고 있었다.

→요즘 한·일 관련 기념 행사와 모임으로 바쁘신 것 같다. 두 나라 사이에서 ‘심수관’이라는 존재는 어디쯤에 있나.

-어떤 신문에서 내가 한국을 모국으로 생각한다고 했던데 그건 잘못 쓴 것이다. 한국은 할아버지의 나라, 아버지의 나라다. 모국, 즉 어머니의 나라는 일본이다.

→그러면 심수관가의 도자기는 어떠한가.

-자주 듣는 말 중에 이런 게 있다. ‘심수관 가문의 도자기는 훌륭하다. 그런데 그 도자기는 한국에서 건너온 것이다. 그러니까 한국의 것은 훌륭하다.’ 그러면 이런 논법은 어떤가. ‘한국의 도자기는 훌륭하다. 그런데 그 도자기는 중국에서 건너온 것이다. 그러니까 중국의 것은 훌륭하다.’ 거기에 동의할 한국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문화는 이동하는 것이다.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420년 전 이곳에 온 조선 문화가 일본의 사회와 풍토에서 적응한 모습이 우리 심수관가의 사쓰마도기다. ‘진화론’을 인용하자면 강하니까 살아남은 것이 아니라 환경에 적응하는 것만이 살아남는 것이다. 한국의 씨앗이 일본의 토양에서 꽃을 피운 것이다.

→두 나라 사이를 좀더 좋게 만들기 위해 고민도 크시겠다.

-옛날 에도시대 나카쓰(오이타현)에 미우라 바이엔이라는 학자가 살았다. 한번은 그가 항구에 나와 바다를 바라보며 이런 말을 했다. ‘바다에 물 한 국자를 부어 넣고 바닷물이 늘었다고 말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지만, 늘어나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 거짓말이다. 중요한 것은 바다에 한 국자의 물을 추가했다는 사실이다.’ 한국을 위한 나의 노력도 그런 것이다. 내가 하는 소소한 일들이 두 나라의 관계를 개선시킬 것이라고 말하긴 어렵지만, 심수관이라는 이름을 갖고 활동을 이어 가는 한 한국에 대한 일본의 이해와 관심은, 설령 당장은 보이지 않을지라도 개선되는 쪽으로 갈 것으로 믿고 있다.

→상대방 지방 문화에 대한 이해를 강조해 왔는데.

-틈만 나면 지인이나 친구들에게 서울 같은 대도시 말고 한국의 지방을 여행해 보라고 권한다. 지방의 다양성과 매력을 알고 느끼게 되면 그 나라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가을에는 많은 인원의 일본인을 데리고 한국의 통영, 하동, 삼천포, 남해, 청송 등을 둘러볼 계획이다.

→원래 도자기를 좋아했다면 다행인데, 그렇지 않았다면 15대 심수관이 되는 게 부담스러웠을 것도 같다.

-가문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다. 숙명이었다. 대학(와세다대 사회학과)을 졸업할 때까지도 내가 이걸 꼭 해야 하나 고민을 했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대학 친구들이 부럽기도 했다. 하지만 당대 최고의 명문이었던 교토대 법학부를 나온 할아버지(13대)도, 와세다대 정경학부를 나온 아버지(14대)도 작은 고향 마을로 돌아와 가문을 지키는 길을 택했다. 그분들을 보고 자란 내가 다른 일을 하겠다는 말을 꺼내는 건 불가능했다. 결국 대학 졸업 후 도쿄를 떠나 고향으로 갔다.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길에 대한 아쉬움도 있었을 것 같다.

-물론이다. 나의 장래가 다른 무언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은 견디기 힘든 일이다. 우리 회사(심수관요)에 25명의 장인이 있는데, 그중에 도자기를 싫어하는 사람이 딱 한 명 있다. 그게 누구냐면 나다(웃음). 농담으로 가끔 하는 말이긴 하지만 같이 일하는 다른 24명은 무수한 직업 중에서 도자기 만드는 게 제일 좋아서 이걸 택한 사람들이고, 나는 집을 지키기 위해 여기에 있게 됐다는 것만큼은 부정할 수 없다. 그래도 나와 다르게 우리 아들은 가업을 즐겁게 이어받기로 해 안심이다.

→다른 일도 아니고 예술의 영역이어서 적성에 부합하는지도 고민이 많았겠다.

-심수관이 되기로 결정하면서 두 가지 고민이 있었다. 그중 하나는 이 일이 내 적성에 맞느냐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고민은 ‘표현’이라는 말을 해석하고 이해함으로써 내 안에서 떨쳐 낼 수 있었다. 다소 어려운 얘기가 될 수도 있는데 표현의 ‘표’(表)와 ‘현’(現)은 둘 다 뭔가를 ‘나타낸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런데 둘 사이에 차이가 있다. ‘현’에는 인간 내면의 생각, 감격, 불안 등이 관련되는데 여기에는 형태가 없다. 이걸 눈에 보이도록 형체화하는 것이 ‘표’다. 결국 형태가 없는 것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이 ‘표현’인 셈이다. 나는 내 안의 생각과 감정에 해당하는 ‘현’을 도자기라고 하는 ‘표’를 통해 형체화하고 있는 것이다. 생각과 감정이 없는 사람은 없다. 그런 면에서 적성은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것은 차(茶)의 종가나 가부키의 종가에서 태어난 사람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두 가지 고민 중 다른 하나는.

-‘심수관’이라는 이름 석 자에 대한 중압감이었다. 가문의 뿌리가 조선임을 숨기지 않았던 우리 집안은 420년 역사에서 여러 어려운 일들을 겪어 왔다. 그중에서 가장 힘들었을 때가 메이지 유신(1868년) 이후 일본이 제국주의로 갔던 시기였다. 그때 조선에 뿌리를 둔 많은 가문들이 그 사실을 숨기려고 했지만 우리 심수관가는 그렇지 않았다. 내가 심수관의 이름을 계승한다는 것은 그런 무겁고 엄중한 역사도 함께 물려받는다는 것인데, 나에게 더없이 부담스러운 일이었다.

→15대 심수관의 작품세계는 어떤 것인가.

-전통이란 지층과 같은 것이다. 가장 밑에 있는 초대를 기반으로 그 위에 2대, 3대, 4대 순으로 켜켜이 쌓이게 된다. 각각의 세대들은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추구한다. 14대인 우리 아버지(92·본명 심혜길)의 세계는 역대로 가장 독특하고 화려했다. 전에 ‘우리 가문을 망가뜨릴 수 있는 분은 오직 아버님밖에 없다’고 말씀드린 적도 있었다(웃음). 나도 내 세대의 색을 만들어야 한다. 그 토대는 ‘로컬’과 ‘아날로그’다. 세상이 글로벌화·디지털화하고 있지만,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은 가고시마의 원료와 가고시마의 기술로 구현되는 가고시마의 미(美)의식 구현이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은 ‘인간의 삶’이다.

글 사진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심수관家는 어떤 곳인가

정유재란 때인 1598년 왜군에 의해 일본 가고시마로 끌려온 남원(전북) 도공 심당길의 후손으로 ‘사쓰마(薩摩·가고시마의 옛 지명)도기’를 발전시켜 온 심수관 가문을 말한다. 태어날 때부터 청송 심씨의 성을 따르는 한국식 이름을 받는다. 사쓰마도기는 1873년 12대 심수관이 오스트리아만국박람회에 도자기를 출품해 정교한 기술과 색감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예술성을 인정받으면서 널리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제15대 심수관은 누구

-1959년 일본 가고시마현 출생 (본명 심일휘)

- 1983년 와세다대 졸업

-1985년 교토부립 도공고등기술전문교 수료

-1988년 이탈리아 국립미술관 도예학교 졸업

-1990년 경기 여주 김일만토기공장 연수

-1999년 제15대 심수관 습명
2018-08-06 1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