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슬기로운 디지털 생활/손원천 문화부장

[데스크 시각] 슬기로운 디지털 생활/손원천 문화부장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8-07-19 21:08
업데이트 2018-07-19 2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연한 기회에 올해 상반기 베스트셀러 목록을 접했다. ‘무례한 사람에게 웃으며 대처하는 법’이 교보문고, 예스24 등에서 종합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고, ‘신경 끄기의 기술’, ‘모든 순간이 너였다’,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 등이 엇비슷한 성적으로 상위권에 랭크됐다.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이 도서들을 관통하는 가치는 팍팍한 삶 가운데 위로와 공감의 언어로 독자들을 어루만졌다는 것이다. ‘무례한 사람에게 웃으며 대처하는 법’은 자기 존재를 끊임없이 증명하라고 강요하는 사회에 반기를 들며 젊은층의 지지를 받았다.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발달로 타인의 삶에 눈 돌릴수록 자기 삶의 기준을 잊어버리는 이들에게 ‘온전한 나로 살아가는 방법’을 각인시켰고, ‘모든 순간이 너였다’ 역시 관계 속에서 느끼는 외로움, 상처 등을 어루만지며 큰 사랑을 받았다.

상반기 베스트셀러의 목록을 가만히 보다 보면 퍼뜩 떠오르는 생각이 있다. 사회가 각종 SNS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개인은 원자화돼 있다는 것이다. 공허하고 가볍다. 그리고 외롭다. 한데 치료법은 딱히 없다. 그러니 수많은 관계 속에서도 ‘나’는 외롭고, 나날이 지쳐만 간다. 치유와 위로의 뜻이 담긴 책들에 많은 손길이 머문 것도 그런 까닭일 것이다.

한데 의아한 구석도 없지 않다. 해마다 연말이면 소주 몇억 병을 해치웠다는 기사가 나올 만큼 정열적인 관계망을 가진 사회인데, 게다가 넷플릭스 등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갖 플랫폼이 나날이 강력해지고 다양해지는데 대체 뭐가 부족해서?

‘써로게이트’(2009)라는 영화가 있다. 브루스 윌리스와 로저먼드 파이크가 주연한 일종의 SF 영화다. 실존하는 사람들은 모두 집 안에 있고, 바깥 활동은 죄다 로봇 아바타들이 대신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달 방식이 촌스럽기는 해도, 영화가 전하려는 메시지만큼은 분명하다. 집이라는 프레임을 뚫고 밖으로 나오라는 것이다. 영화 역시 모든 이들이 문을 열고 나와 실물 세계와 조우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적당한 폭력과 현란한 컴퓨터 그래픽이 버무려진 옛 B급 영화를 새삼 끄집어내는 건 영화의 무대가 지금의 세상과 닮은 듯해서다. 엔지니어들(혹은 기술)이 만든 디지털 프레임은 앞으로 점점 더 견고해질 것이다. 넷플릭스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무수하게 많은 콘텐츠를 매우 편하게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문제는 콘텐츠를 즐기는 방식이 지극히 개인적이라는 것이다. 작은 스마트폰, 패드, TV를 통해 저만의 공간에서 콘텐츠를 소비하고 만다. 그러니 콘텐츠가 범람할수록 개인의 고립이 심화되는 역설은 시간이 지날수록 커질 수밖에 없다. 많은 영화와 책 등 미래를 전하는 도구들마다 암울한 미래상을 그려 내고 있는 건 이처럼 앞으로 갈 길이 날물 때 갈라진 바닷길처럼 분명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책은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다. 많은 이들의 손길이 가리키는 것이 곧 당대의 모습이다. 개인의 원자화는 필연적으로 사회 병리 현상을 부르기 마련이다. 이에 대한 안전장치는 따로 없다. 저마다 슬기로운 디지털 생활을 영위하는 것 외에. 가끔씩 문 밖으로 나가 현실과 마주하며 균형을 잃지 않는 것이 아마 유일하고도 강력한 치료법일 것이다.

올해 상반기에 ‘종이’책을 사간 이가 몇이나 될지는 잘 모르겠다. 필경 많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 해도 할 자격만 있다면 ‘종이’책을 사든 이들의 손에 축복이라도 내려 주고 싶다. 그 손길 위로 껍질을 부수고 나오려는 병아리의 가녀린 부리가 겹쳐졌기 때문이다. 디지털 프레임을 깨고 나간 호모사피엔스 후예의 모습도 바로 그와 같을 것이다.

angler@seoul.co.kr
2018-07-20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