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눈앞의 그가 바로 신이다

신은 숨어 있다. 예언자 이사야도 말하지 않았던가. “참으로 주는 자신을 숨기시는 하나님입니다.”
정말 신이 있다면 어떨까. 그럼 우리는 이런 의문을 가질 법하다. 지금 이 순간, 신은 왜 내 눈앞에 나타나지 않는가? 사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신학적 답변이 이미 마련돼 있다. 그런데 이와 상관없이 나는 애니메이션 영화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를 보고 다음과 같은 생각을 했다. 이 땅에 신이 강림하더라도 인간은 그(녀)를 결코 신으로 여기지 않을 것이라고. 신은 인간에게 보이지 않아 숨은 존재인 것이 아니라, 인간이 그(녀)를 신으로 보지 않음으로써 숨겨진 존재가 됐다고.

써 놓고 보니 걱정되긴 한다. 분명 어떤 사람은 타박할 듯싶다. 아무리 봐도 순정 만화풍의 작품에서 너무 거창한 주제를 끄집어냈다고 말이다. 하지만 나에게는 진짜 그렇게 보였다. 이 영화는 인간 세상에 정체를 드러낸 신의 무력한 사랑과, 그로 인해 역설적으로 위대해진 신의 자취를 담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때 신은 마키아다. 어째서 그녀를 신으로 간주하느냐면, 마키아가 소녀, 소년의 외모로 수백년을 사는 요르프족의 일원이기 때문이다. 또한 요르프족은 기억을 간직한 세월의 천 히비오르를 짠다는 점에서 시간을 주관하는 신이라고 볼 수 있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그러나 요르프족은 힘없는 신이다. 이들은 자신의 영역을 군인들에게 빼앗기고 살해당했다. 군인들은 요르프족을 신으로 보지 않았다. 그들에게 요르프족은 오래 사는 괴물일 뿐이었다. 인간들에 의한 약탈과 살육이 벌어지는 가운데, 마키아는 홀로 요르프족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들판으로 피신하게 된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녀는 우는 아기를 발견한다. 강도의 습격으로 죽은 엄마 품에 안겨 우는 아기였다. 자, 어떡해야 할까. 마키아는 결단한다. 자기가 아리엘이라고 이름 붙여준 아기의 엄마가 되기로. 이를 그녀의 뜬금없는 선택이라고 할 수는 없다. 외톨이 마키아가 외톨이 아리엘을 보듬기로 하면서 둘은 외톨이가 아니게 됐으니까. 이제 이 작품은 마키아의 양육기, 혹은 아리엘의 성장기로 부를 만한 이야기로 흐름이 바뀐다.

이쯤에서 제목을 보고 벌써 눈치챈 관객이 있을 것이다. 이들 만남에는 이별이 예정돼 있다. 마키아가 요르프족이고 아리엘이 인간이라는 설정을 감안하면 당연히 예상 가능한 결말이다. 수십년이 지나도 여전히 소녀의 외양을 한 엄마는, 늙은 자식이 숨을 거두는 모습을 눈물겹게 지켜보게 되리라. 한데 이 영화는 그런 필연적인 슬픔을 신파조로 늘어 놓지 않아서 특별하다. 앞에 쓴 대로 마키아는 아리엘을 향한 무력한 사랑을 실천하면서 위대해졌다. 그러니까 아리엘에게는 마키아가 신이었을 테다. 인간에게 보이지 않던 존재는 이렇게 현현한다. 우리 눈앞에 있는 그(녀)가 바로 신이다. 신은 숨어 있지 않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