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느리고 커지는 태풍… ‘쁘라삐룬’ 다음은 ‘마리아’

느리고 커지는 태풍… ‘쁘라삐룬’ 다음은 ‘마리아’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8-07-03 17:48
업데이트 2018-07-04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름 손님’ 태풍 이모저모

지구 열순환 위한 자연현상
8월에 평균 5.8개 만들어져
국가별 고유 이름 10개씩 제출
매년 큰 피해 입힌 이름은 퇴출

지난달 29일 일본 오키나와 남남동쪽 약 740㎞ 해상에서 발생한 제7호 태풍 ‘쁘라삐룬’은 당초 제주도를 거쳐 서해안을 지나 북상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렇지만 예상경로를 벗어나 동쪽으로 크게 휘면서 일본에 더 가깝게 지나가게 됐다.
이미지 확대
2013년 이후 한반도에 이렇다 할 태풍이 영향을 미치지 못한 상황에서 만약 예상대로 한반도를 관통해 지나갈 경우 내륙지방에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우려돼 기상당국과 지방자치단체들은 극도로 긴장했다.

강한 바람과 많은 양의 비, 높은 파도를 일으켜 재산상, 인명상 피해를 입히는 태풍은 북태평양 서쪽 바다에서 주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을 부르는 용어이다. 발생 지역에 따라 달리 부르는데 북대서양, 카리브해, 멕시코만은 허리케인으로, 인도양, 아라비아해, 벵골만은 사이클론, 호주 인근은 윌리윌리로 부른다.

태풍은 지구의 열적 불균형을 없애기 위해 발생하는 자연현상으로 태풍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해수면 온도가 27도 이상으로 높아야 하며 바닷물이 증발하면서 발생한 풍부한 수증기, 강한 상승기류 등이 필요하다.

지구가 자전하고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과정에서 받는 열량은 적도와 극지방, 대륙과 바다 등 지역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적도 부근이 극지방보다 태양열을 많이 받아 생기는 열적 불균형을 없애기 위해 따뜻한 공기가 바다로부터 수증기를 공급받아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해 고위도 쪽으로 이동하는 기상현상이 태풍이다.

미국해양대기관리청(NOAA) 연구진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수 온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극지방과 적도 부근 바닷물의 온도 차가 크지 않아 태풍의 강도는 커지고 있는 데 반해 이동속도는 현저하게 늦어지고 있다. 기상학자들은 현재와 같은 지구온난화가 지속될 경우 이 같은 경향성은 더 커져 심각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고 전망한다.

태풍의 발생 빈도가 가장 큰 달은 8월, 9월, 10월과 7월 순이다. 기상청 통계에 따르면 1981~2010년까지 지난 30년간 연평균 25.6개의 태풍이 발생했는데 이 중 8월에 평균 5.8개가 만들어졌다. 한반도와 가까운 북서태평양 해역에서는 연평균 9~12개의 태풍이 만들어진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평균 2.2개 수준이다.

보통 태풍의 수명은 7~10일 정도이다. 뜨겁고 습한 공기를 머금고 적도 부근 바다에서 발생한 태풍은 북상하면서 바닷물 온도가 낮은 지역에 도달하거나 육지에 상륙해 더이상 수증기 공급을 받지 못할 때 자연스럽게 소멸된다.
이미지 확대
사람들이 태풍에 대해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는 다름 아닌 ‘태풍의 이름’이다.

태풍에 지금처럼 이름을 붙인 것은 20세기 초 호주 예보관들이었다. 당시에는 예보관들이 자기가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을 태풍에 붙여 예보했다. “현재 ○○○이 태평양 해상에서 헤매고 있는 중이다, 엄청난 재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식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미국 공군과 해군예보국에서 자신의 부인이나 여자친구 이름을 사용했는데 그 때문에 1978년까지는 태풍의 이름은 여성 일색이었다.

지금과 같은 이름이 붙기 시작한 것은 2000년 ‘ESCAP/WMO 태풍위원회’에서 태풍의 직접적 영향권에 있는 지역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회원국의 고유한 이름을 붙이면서부터다. 태풍 이름은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140개 이름이 조별 28개씩 5개조로 분류돼 순차적으로 사용된다. 한국과 북한도 10개씩 이름을 제출했기 때문에 태풍 이름에 유독 한국어를 많이 들을 수 있다.

이번 ‘쁘라삐룬’은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이었으며 바로 직전에 발생한 6호 태풍은 한국에서 제출한 ‘개미’였다. 앞으로 발생할 8호 태풍은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인 ‘마리아’를 사용하게 된다. 태풍이 연간 30여개 안팎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140개 이름이 다 사용되기까지는 약 4~5년이 걸린다.

매년 열리는 태풍위원회 총회에서는 막대한 피해를 입힌 태풍의 이름은 퇴출하고 새로운 이름을 짓는데 한국에서 제출한 ‘나비’는 2005년 일본에 엄청난 피해를 입히면서 ‘독수리’라는 이름으로 대체됐다. 2003년 한반도 남해안을 강타한 ‘매미’도 ‘무지개’로 대체됐으며 이 밖에도 봉선화, 수달도 각각 노을, 미리내로 바뀌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8-07-04 2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