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학은 나라를 이해하는 통로…황석영 같은 유망작가 더 발굴”

“문학은 나라를 이해하는 통로…황석영 같은 유망작가 더 발굴”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06-28 22:18
업데이트 2018-06-30 19: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국제도서전 찾은 발레리아 치옴피 스페인 알리안사 편집장

스페인에 한국은 미지의 나라다. 한국 작가들 역시 스페인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소설을 출간한 출판사가 있다. 알리안사 출판사다. 지난 2012년 황석영 작가의 ‘심청’을, 2015년에는 ‘바리데기’를 각각 번역 출간했다. 서울국제도서전을 맞아 한국에 온 발레리아 치옴피 알리안사 편집장을 만나 한국 문학의 스페인 진출에 대해 물었다. 인터뷰는 도서전이 열린 지난 20일 진행됐다.
이미지 확대
발레리아 치옴피 스페인 알리안사 편집장
발레리아 치옴피 스페인 알리안사 편집장
→서울국제도서전에 온 이유는.

-한국문학번역원이 마련한 ‘한국문학 쇼케이스’ 행사 참석차 왔다. 이번 쇼케이스 행사로 한국 작가를 많이 알게 됐다. 실력 있는 한국 작가를 만나 의논을 할 예정이다. (그는 인터뷰 직전까지 한국문학번역원이 만든 황정은, 김경욱, 김영하 작가의 영문판 소개 책자를 보고 있었다.) 앞서 우리는 2012년 프랑스 줄마 출판사의 출간 목록에 있는 ‘심청’을 보고 출판했다. 프랑스어 판을 스페인어로 번역했다. 황석영은 인상적인 작가였다. 자연스레 다른 한국 작가에게도 관심이 생겼다.

→알리안사는 어떤 곳인가.

-1966년 호세 오르테가 스포토르노가 스페인 지식인들과 함께 설립했다. 스페인은 1975년 말까지 프랑코 장군의 독재 정권 지배로 어두운 시절을 보냈다. 검열이 심했고, 우린 이를 피해 비밀서적을 출간하며 버텼다. 우린 ‘스페인 국민은 책이라는 도구로 자유롭게 사상한다’를 신조로, 독립적인 작품을 선정해 출간한다. 연간 230종 정도 출간하며 번역서는 60~70% 정도다.

→황 작가 책은 대중적으로 성공했나.

-사실 스페인은 독자층이 그리 두텁지 않다. 양질의 책이라도 5000부 안팎 정도 팔린다. 판매 부수를 밝히긴 어렵지만, 황 작가의 ‘심청’은 어느 정도 성공했다. 이후 우리는 황 작가의 에이전트를 통해 황 작가의 다음 작품인 ‘바리데기’ 영문 번역 샘플을 받았고 이후 한국문학번역원의 지원을 받아 출판했다. 바리데기는 지금까지 읽은 책 중 가장 감동적이고 강렬한 소설 가운데 하나다. 황 작가 작품을 통해 한국의 비약적인 발전과 기술 수준, 정치 상황까지 이해하게 됐다. 이렇듯 문학은 그 나라를 이해하는 ‘통로’다. 이게 바로 문학 번역의 가장 큰 의미라 생각한다.

→한강의 작품이 스페인에 번역됐는데.

-‘라타’라는 작은 출판사에서 한강 작가의 작품 수준을 알아보고 ‘채식주의자’는 물론 ‘소년이 온다’까지 번역 출판했다. 이후 한강 작가가 맨부커 상을 받으면서 폭넓게 알려졌고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했다. ‘채식주의자’는 스페인에서만 2만 5000여부가 팔린 것으로 안다. 굉장히 성공한 사례다.

→출판사가 번역을 결정하는 기준은.

-솔직히 영미권 작가가 인기 있고 홍보도 쉽다. 하지만 우리는 문학 작품의 질을 들여다보려 노력한다. 상업적이라도 좋은 책은 있을 수 있다. 잘 쓴 책은 흥미로운 주제를 담고 있으며 술술 읽힌다. 그래도 가장 좋은 책은 다음 세대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책이 아닐까.

→한국적인 작품이 외국에 통하지 않나.

-한국에 올 때 가장 고민한 문제였다. 좋은 책이냐 나쁜 책이냐, 한국적이냐 비한국적이냐를 따질 필요가 있을까. 그러다 좋은 작품이 국경을 넘어 전달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능한 작가의 작품은 한 작품만 소개되는 게 아니라 황 작가처럼 다음 작품으로 이어진다. ‘빌드 업’이라고 해야 할까.

→스페인에 한국 작품이 많이 소개되려면.

-다른 출판 선진국처럼 한국문학번역원과 같은 정부 기관의 노력이 중요하다. 개별 출판사로선 한국이라는 나라의 유망 작가를 일일이 아는 게 쉽지 않다. (작가 소개 책자를 보이며) 이렇게 작가 소개를 받는 게 중요하다. 한국은 스페인에 생소한 나라다. 그러나 우린 한국에 유망한 작가가 많다고 생각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06-29 2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