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일본에 한국 민주화 희생·성취 보여주려 다큐 만들었죠”

“일본에 한국 민주화 희생·성취 보여주려 다큐 만들었죠”

김태균 기자
입력 2018-06-21 21:16
업데이트 2018-06-21 23: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18 관련 ‘그때, 시민은 군과…’ 제작 전용승 PD

日, 촛불혁명에 관심 가져 시작
NHK 방송 뒤 현지 다양한 반응
“민주화 질문에 답이 되었길…”
이미지 확대
재일 다큐멘터리 연출가 전용승 PD가 21일 다큐멘터리 ‘그때, 시민은 군과 싸웠다’의 영상을 배경으로 제작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재일 다큐멘터리 연출가 전용승 PD가 21일 다큐멘터리 ‘그때, 시민은 군과 싸웠다’의 영상을 배경으로 제작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북·미 정상회담으로 떠들썩했던 지난 12일 밤 9시, 한 편의 다큐멘터리가 일본 공영방송 NHK의 전파를 탔다. 제목은 ‘그때, 시민은 군과 싸웠다’. NHK의 고정 다큐멘터리 코너 ‘어나더 스토리’를 통해 방영된 이 영상은 우리나라 사람의 손으로 제작돼 일본에서 공개된 최초의 5·18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다큐멘터리였다. 방송이 나가자 트위터 등에는 ‘한국 현대사에 이런 일이 있었는지 전혀 몰랐다’, ‘한국의 민주화가 이뤄지는 전체 흐름이 명확하게 들어왔다’ 등 일본 시청자들의 의견이 줄을 이었다.

다큐멘터리를 만든 사람은 일본에서 활동 중인 연출가 전용승(51) PD. 전 PD는 21일 서울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한국인들이 치러야 했던 희생과 그것을 발판으로 이뤄낸 성취를 일본인들에게 분명하게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전 PD는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1993년 일본에 유학해 저널리즘을 전공한 뒤 1997년부터 방송 연출가의 길을 걸어왔다. ‘NHK스페셜’ 등 많은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2009년 ‘일본과 한반도 2000년’으로 NHK회장상, 2012년 ‘알려지지 않은 방사능 오염’으로 총리상을 받는 등 일본에서도 알아 주는 시사·역사 전문 PD다.

“한국에서 촛불혁명을 통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는 것을 보면서 많은 일본인들이 ‘저렇게 수십만명이 광장에 모이는 에너지의 원천은 무엇이냐’고 묻더군요. 다큐멘터리 ‘그때, 시민은 군과 싸웠다’는 그 질문에 대한 대답에서 시작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지금 일본 사회에는 정치적인 정체감 내지 무력감 같은 것이 팽배해 있다”며 “그래서인지 한국의 민주화운동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졌다”고 소개했다. 그는 지난 4월 일본에서도 개봉한 영화 ‘택시운전사’에 관객이 지속적으로 들고 있는 것을 하나의 방증으로 들었다.

전 PD는 기초적인 자료 수집과 분석을 마치고 올 초부터 현장을 다녔다. “광주 학살을 세계에 처음으로 알린 위르겐 힌츠페터 당시 독일 ARD 도쿄 특파원에 대한 취재부터 시작했습니다. 힌츠페터는 5·18 이전과 이후를 합해 총 17년을 도쿄에 있었지요. NHK와 아사히신문 등 1980년 당시 광주에 있었던 특파원들에 대한 취재도 다각도로 시도했습니다.”

광주로 가서 당시 시민군 인사들은 물론이고 진압군으로 투입됐던 군인들도 여러 명 만났다. 그중에서 신승용 예비역 소령은 이번에 처음으로 방송 카메라 앞에 섰다. 이한열의 어머니 배은심 여사도 만났다. 이렇게 해서 모인 100시간 이상의 취재 분량을 제한된 60분으로 편집하는 것은 고통스러운 작업이었다.

“일본인 지인이 ‘민주화란 게 뭐냐. 민주화가 되면 대체 뭐가 바뀌는 것이냐’라고 물었을 때 크게 당혹스러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민주화에 대한 개념이나 느낌 같은 걸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민주화가 아닌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을 다큐멘터리를 통해 보여 주었으니 어느 정도 답이 됐을지 모르겠습니다.”

글 사진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18-06-22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