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수송기로 하와이 직행 VS 판문점 통해 육로 이동… 軍 “결정 안 돼”

수송기로 하와이 직행 VS 판문점 통해 육로 이동… 軍 “결정 안 돼”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8-06-21 22:42
업데이트 2018-06-22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군 유해 송환 절차·경로는

DNA 검사로 미군 여부 확인 뒤 제3 국적 땐 해당 국가로 재송환
이미지 확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미 정부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북한이 250구 이상의 유해를 하루 이틀 안에 송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지난 12일 북·미 두 정상이 미군 유해 송환을 합의함에 따라 곧 송환 절차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서 실종된 미군 유해 3구가 1998년 7월 24일 판문점을 통해 주한 유엔군사령부에 인도돼 남측으로 운구되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DB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미 정부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북한이 250구 이상의 유해를 하루 이틀 안에 송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지난 12일 북·미 두 정상이 미군 유해 송환을 합의함에 따라 곧 송환 절차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서 실종된 미군 유해 3구가 1998년 7월 24일 판문점을 통해 주한 유엔군사령부에 인도돼 남측으로 운구되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북한이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를 송환했다고 밝혔지만 실제 송환 절차는 이번 주 내에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수송기를 통해 미 공군기지로 이동시킨 뒤 유해 송환식을 여는 방안이 유력해 보이지만 전사자에 대해 예우를 중시했던 미국의 전례를 감안할 때 판문점을 통한 육로 송환 가능성도 있다.

복수의 군 소식통은 21일 “유해를 북한에서 판문점을 지나 육로로 옮기는 방법과 수송기를 이용해 이동하는 방식이 있는데 편의성을 감안하면 수송기를 통한 이동이 유력하지만 상징성을 감안하면 판문점을 통한 수송도 가능하다”며 “하지만 아직 수송 방식은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언론들은 수송기를 이용하는 방식에 무게를 두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미 정부 소식통의 전언을 빌어 하루 이틀 내에 유해가 오산 미군 기지에 도착하면 활주로에서 유해 송환식을 열고 하와이 히컴 공군기지로 옮겨 DNA 검사를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만일 DNA 검사 결과 미군이 아닌 다른 나라 국적의 전사자 유해가 섞여 있으면 해당 국가로 재송환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기술 수준이 아직은 높지 않아 뼈의 모양을 보고 서구인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다른 참전국의 실종 군인 유해가 포함됐을 가능성도 남아 있다.

수송기를 통한 유해 이동은 과거부터 사용됐다. 1999년 북한이 미군 유해 4구를 인도했을 때도 미국은 일본 요코다 공군기지에 옮겨 유해 송환식을 열었다. 반면 유해가 200구에 이른다는 점에서 수송기로 관을 실어 나르는 게 효율적이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또 다른 방식은 북한군이 판문점 군사분계선까지 유해가 든 관을 이송해 유엔사 경비대가 이를 넘겨받는 방식이다. 한국전쟁 전사자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판문점이나 비무장지대(DMZ)에서 유해 송환식을 열 가능성도 있다.

정부 관계자는 “판문점으로 유해를 송환할 때는 북한 병사 6명이 유해 한 구씩을 들어 유엔사 경비대 6명에게 전달하며 예우를 갖췄는데 200구도 가능할지 모르겠다”며 “차량을 이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전쟁 때 실종된 미군은 약 7700명이고 이 중 5300명이 북한 지역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과 북한은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북한에 있는 미군 유해 발굴을 위한 33차례의 공동 조사를 벌여 229구의 유해를 송환했다. 하지만 북핵 문제로 그간 유해 발굴과 송환은 이뤄지지 못했다.

한편 지난 12일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싱가포르 공동성명에서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신원이 이미 확인된 전쟁 포로, 전쟁 실종자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는 것을 포함해 전쟁 포로, 전쟁 실종자의 유해 수습을 약속한다’고 합의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8-06-22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