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의 예감에서 시작된 폭력은 계속된다

‘폭력의 예감’이라는 책이 있다. 오키나와 식민주의 테마를 연구하는 학자 도미야마 이치로의 저작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그는 폭력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면서 독특한 견해를 제시한다. 이는 폭력이 나에게 언제부터 가해지느냐 하는 시점의 문제와 연관된다. 보통은 누군가 나를 때렸을 때 폭력이 발생했다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도미야마는 다른 주장을 펼친다. 폭력은 내가 누군가에게 얻어맞기 이전부터 존재한다고 말이다. 그에 따르면 폭력은 내가 누군가에게 얻어맞을 것이라고, 내가 폭력을 미리 느끼고 긴장하는 순간부터 작동한다. 실제 폭행 없는 폭력으로도 나는 큰 고통을 겪을 수 있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이와 같은 ‘폭력의 예감에서부터 시작되는 폭력’의 공포를 정확하게 짚어내는 영화다. 오프닝 배경은 프랑스 가정법원이다. 아빠 앙투안(드니 메노셰)과 엄마 미리암(레아 드루케)은 열한 살 아들 줄리앙(토마 지오리아)의 양육권을 놓고 다툰다. 부모에 대해 줄리앙은 이런 진술을 했다. “그 사람은 엄마를 괴롭히기만 해요. (…) 저도 안 보면 좋겠어요. 강제로 2주에 한 번 혹은 주말에 만나라고 하지 말고, 영영 안 보면 좋겠어요.” 여기에서 ‘그 사람’은 앙투안을 가리킨다. 아들은 그를 ‘아빠’라고 부르기조차 싫어한다.

쟁점은 이것이다. 어린 줄리앙의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믿을 수 있을까? 앙투안은 사회적 평판이 좋은 남자다. 이렇게 특별한 잘못이 입증되지 않은 아빠가 주기적으로 아들과 만나겠다고 한다. 그러니까 그의 권리를 어떻게 제한하겠느냐 하는 점이다. 결국 재판부는 앙투안의 손을 들어 준다. 아들은 따로 살되, 정해진 날은 반드시 아빠와 함께 시간을 보내야 한다. 초반에 앙투안은 ‘아빠’의 얼굴을 보여 준다. 그렇지만 점점 그는 ‘그 사람’의 면모를 내보인다. 앙투안의 흉흉한 기세에 눌려 줄리앙은 얼어붙는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물론 폭력에 노출된 사람의 움츠러듦이 부정성만 띠는 것은 아니다. 도미야마는 다음과 같이 쓴다. “폭력을 감지한 자들이 방어 태세를 취하는 그 수동성 자체에 의의가 있다는 것, 즉 ‘수동성에 잠재력이 항상 깃들어 있다는 것’이야말로 중요하다.” 줄리앙은 나름대로 저항했다. 판사에게 자기 입장을 전달한 것, 엄마를 지키려고 앙투안에게 거짓말을 한 것 등이 그렇다. 하지만 전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후자는 금방 들통났다. 방어 태세를 취하는 수동성을 아이가 적극적으로 전유하기는 아무래도 어려운 일이다.

“이제 끝났습니다.” 스포일러라 자세히 밝힐 수는 없으나, 결말에서 어떤 상황이 마무리되면서 언급되는 대사다. 영화 제목은 그와 정반대다. ‘폭력의 예감에서부터 시작되는 폭력’이 계속된다는 뜻이다. 상흔이 줄리앙에게 깊게 남았다. 소년은 목메어 운다. 그 모습을 보면서 그것을 진짜 끝낼 방안이 무엇인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