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예술단 등 문화교류부터… 경제분야 첫 타자 ‘농업’ 유력

예술단 등 문화교류부터… 경제분야 첫 타자 ‘농업’ 유력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8-06-12 18:16
업데이트 2018-06-12 2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뢰 구축 위해 스포츠 활용할 듯

체조 선수단·관현악단 초청 관측
경제교류 민간 주도 가능성 높아
문화 분야보다 제한적 접근 전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12 북·미 정상회담에서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기로 합의하면서 문화·스포츠 교류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다만 경제 교류는 북한 비핵화 진전에 따른 대북 제재 완화가 선행돼야 하기에 다소 늦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북한과 미국이 관계 개선 과정에서 상호 교류 활성화와 신뢰 구축을 위해 우선 활용할 분야는 문화와 스포츠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북·미 정상회담을 이틀 앞뒀던 10일(현지시간) 미국 온라인매체 액시오스는 “회담 준비에 관여한 미국 관료들이 공식적인 외교 이외에 북한과 교류할 방안을 강구해 왔다”면서 “그중 하나가 북한의 체조 선수단과 평양의 관현악단을 미국에 초청하는 등 문화 교류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실제로 남북 예술단 공연에 주도적 역할을 한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 단장이 김 위원장의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수행단에 포함돼 북·미 문화 교류를 염두에 둔 행보가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앞서 2008년 2월 미국 뉴욕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 상임지휘자 로린 마젤은 평양을 방문해 동평양대극장에서 조선국립교향악단과 협연한 바 있다.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공연에 참석하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의 예술단 공연에 잇따라 참석한 김정은 위원장이 북·미 문화 교류 행사에 직접 참석한다면 양국의 관계 정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북·미 간 경제 교류는 정부보다 민간이 주도할 가능성이 크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13일 미국 CBS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비핵화를 한다면 미국 정부가 예산을 들여 북한 경제 지원을 할 수는 없지만 대북 제재를 완화해 미국 자본이 북한에 투자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북한 역시 미국 정부의 직접 지원은 북한 내부의 체제 개혁 요구를 증대시켜 정권에 위협이 될 수 있기에 바라지 않을 것이라고 AP는 분석했다.

경제 교류는 북한이 경제 개발을 위해 절실히 필요로 하는 전력과 인프라, 농업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위원장은 2016년 “인민 경제 전반을 활성화하고 경제 부문 사이의 균형을 보장해 나라의 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며 5개년 경제 발전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같은 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민간 분야의 미국인이 북한의 에너지 설비 구축을 도울 것이다. 북한은 엄청난 양의 전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이후 북한과 함께 인프라를 건설하고 미국 농업 역량으로 북한을 지원해 그들이 고기를 먹고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북한과의 경제 교류를 위해 당장 대북 제재를 완화하거나 해제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 이후 기자회견에서 “완전한 비핵화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면서 “제재 해제는 핵무기가 이슈가 아닐 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현준 우석대 초빙교수는 “이번 북·미 정상회담에서도 보여 줬듯 트럼프 대통령이 신속한 합의와 이행을 원하는 것을 고려했을 때 문화·스포츠 교류도 단시간 내에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특히 김 위원장이 농구 광팬이니 북·미 간 농구 친선 경기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경제 교류는 비핵화와 맞물려 가야 하기에 속도와 범위는 문화·스포츠 교류에 비해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8-06-13 1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