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

다음은 다큐멘터리 영화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을 감상하기 위한 사전 질문이다. ‘얼굴과 장소에 공통점이 있을까?’ 사실 얼굴과 장소는 나란히 놓고 비교하기 어려운 사물이다. 그래도 한번 천천히 생각해 보시길 바란다. 정답 같은 건 없는 물음이지만, 그 과정에서 평범한 일상을 예술적으로 바꿀 수 있는 작은 힌트를 얻을지도 모르니까. 당신의 답변을 기다리는 동안 우선 내가 떠올린 것부터 밝힌다.
① ‘얼굴과 장소는 고유하다’: 고유하다는 것은 다른 개체와 구별되는 특성이다. 그래서 얼굴은 A와 B가 똑같은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일차 기준이 된다. 장소도 마찬가지다. (당연한 말처럼 들릴 수도 있겠으나) 서울과 뉴욕이 다른 도시인 까닭은, 무엇보다 양자가 동일한 곳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② ‘얼굴과 장소에는 역사가 새겨져 있다’: 역사는 흘러간 시간의 흔적이다. 이런 점에서 역사적 탐구는 그것을 잊지 않고 어떻게든 기억하여 지켜내려는 싸움이기도 하다. 얼굴에는 한 사람이 지나온 나날이, 장소에는 한 공간이 품어낸 과거가 오롯하게 담겨 있다. 그 자체로 얼굴과 장소는 역사다. 곧 역사적 탐구의 대상이 된다는 뜻이다.

③ ‘다양한 표정을 얼굴과 장소가 짓는다’: 얼굴에는 여러 가지 표정이 드러난다. 이것을 설명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하지만 장소도 색색의 표정을 갖는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해명이 불가피하다. 장소가 표정을 짓는다는 것은 그곳에 감각적 정서가 내포돼 있다는 의미다. 어딘가에서 유독 포근한 느낌을 받은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지 않을까 싶다. 장소는 단순한 땅덩이가 아니다. 사람과 교감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이렇게 나는 얼굴과 장소의 세 가지 공통점을 찾았다. 실은 전부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을 보면서 발견한 것들이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누벨바그를 대표하는 감독 중 한 명인 아녜스 바르다와 그래피티 아티스트인 JR이다. 두 사람은 함께 예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어떤 것인가 하면 프랑스 곳곳을 누비면서 거기에서 만난 사람들의 얼굴 사진을 찍고, 이를 큰 사이즈로 출력해, 건물 벽면에 부착하는 작업이다.

예컨대 바르다와 JR은 곧 철거될 광산촌에 가 마지막까지 이곳을 지키고 있는 자닌을 만나 대화를 나눈다. 그리고 그녀의 사진을 비롯해, 예전에 여기에서 일했던 광부들의 사진을 커다랗게 인화해 담벼락에 붙였다. JR은 이야기한다. “우린 광부들을 기리고 최후의 저항자 자닌의 얼굴을 자택에 붙여 그녀에게 경의를 표했다.” 이는 일상이 예술화된 한 가지 사례다. 그때의 얼굴과 장소는 분명 고유하고 역사적이다. 또한 숭고한 표정을 짓는다. 이외에도 얼굴과 장소의 공통점이 있을 것이다. 이 영화를 보고 난 뒤 당신은 어떤 대답을 할지 궁금하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