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킬과 하이드 사이…나의 두 가지 모습 모두가 진실한 것”

‘미세스 하이드’라는 영화 제목을 보면 자연스럽게 유명한 소설 제목이 떠오른다. ‘지킬 박사와 하이드’(1886)다.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이 쓴 이 작품은 선인 지킬 박사와 악인 하이드가 사실 한 사람이었다는, 인간의 본성이 이중적이라는 모티프를 담고 있다. 이후 많은 예술가가 ‘지킬 박사와 하이드’(조영학 옮김, 열린책들)의 “인간이 궁극적으로 다면적이며 이율배반적인 별개의 인자들이 모여 이루어진 구성체라는 가설”을 변주한 창작물을 만들었다. 세르주 보종 감독도 그중 한 명이다. 그는 프랑스의 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모순적인 인간 내면, 그리고 그와 비슷하게 모순적인 교육 현장 이야기를 펼쳐놓는다.
원작의 지킬 박사는 이 영화에서 물리 교사 마리 지킬(이자벨 위페르)로 등장한다. 교직 생활을 오래 했지만 마리는 학교에서 무시당하기 일쑤다. 학생들의 말을 들어보면 이렇다. 수업 시간에 그녀가 필요한 내용을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 자신들과 소통하려는 의지도 없다는 것이다. 원작의 지킬 박사가 지녔던 높은 학식과 정숙한 성품은 마리에게 오히려 독선과 아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과거에는 장점이던 요소가 현재에선 단점으로 받아들여지게 된 것이다. 반대의 경우도 있다. 이를테면 원작의 하이드가 가진 폭력성이 (벼락을 맞은 뒤 하이드가 된) 마리에게 과단성으로 전유되는 모습이 그렇다.

이와 관련해 ‘미세스 하이드’는 ‘상호작용’이라는 개념을 강조한다. 영화에서는 지킬과 하이드의 정체성을 혼란스럽게 오가는 가운데 마리가 이것을 직접 설명한다. “상호작용은 두 가지 요소의 역할이 떼려야 뗄 수 없다는 거야. (중략) 이렇게 두 원인 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때 둘이 합쳐진 결과는 각각을 분리해 측정할 수 없어.” 다시 말해 지킬이 선인이고 하이드가 악인이 아니라는 뜻이다. 한 몸에 깃든 지킬과 하이드는 뒤섞일 수밖에 없다. 이런 혼종적 주체가 하는 행동은 때로는 선으로, 때로는 악으로, 때로는 선악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모호한 것들을 산출한다. 그 예는 한 개인을 넘어, 그런 개인들의 집합인 사회·교육 현장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생각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그래서 중요하다.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사유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선악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모호한 것들을 일방적인 선, 혹은 일방적인 악으로 잘못 규정하고 만다. 마리의 지도로 학생 말릭(아다 세나니)은 그것을 깨우친다. 덕분에 그는 이 영화에서 그녀가 지킬이면서 하이드일 수 있는 존재임을, 동시에 그녀가 지킬도 하이드도 아닐 수 있는 존재임을 인정하는 유일한 사람이 됐다. 교육의 참된 효과다. ‘미스 하이드’는 만듦새가 그리 뛰어난 영화는 아니다. 하지만 이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한 개인과 사회의 얽힘, 해결에 관한 메시지를 또렷하게 전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