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성차별·억압에 맞선 한국 ‘보통 여성’들의 용기와 희망을 담다

성차별·억압에 맞선 한국 ‘보통 여성’들의 용기와 희망을 담다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5-30 17:18
업데이트 2018-05-31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남주 신작 ‘그녀 이름은’ 출간

10~60대 여성들의 애환
담담한 문체로 28편 소설 엮어
“특별하지 않은 여성들의 삶 더 많이 드러나고 기록됐으면”
이미지 확대
조남주 작가
조남주 작가
한밤중 낯선 사람의 침입 위협에 늘 긴장해야 하는 그녀, 육아휴직도 회사 사정 봐가며 눈치껏 써야 하는 그녀, 결혼을 했지만 내 집 마련은 반쯤 포기한 그녀, 아들딸 키운 것도 모자라 손주들을 키우느라 정작 자신은 돌보지 못하는 그녀…. 대한민국의 평범한 ‘그녀’들에게 일상은 전투다. 집, 회사, 사회라는 거대한 전투장에서 누군가의 딸, 엄마, 아내, 며느리, 직원으로 버텨내야 하는 삶은 늘 고단하다.
이미지 확대
조남주 작가의 신작 소설집 ‘그녀 이름은’(다산책방)은 온갖 차별과 억압에도 용감하게 하루하루를 버티는 보통 여자들을 불러냈다. 2016년 소설 ‘82년생 김지영’으로 우리 사회에 큰 울림을 남긴 작가가 또 다른 ‘김지영’들의 목소리를 한데 모았다. 10대부터 60대까지 60여명의 여성을 인터뷰한 작가가 2016년 12월부터 1년간 한 일간지에 ‘그녀의 이름을 부르다’라는 제목으로 연재한 르포 기사를 28편의 짧은 소설로 재구성해 묶었다. 작가는 책 첫머리에 놓인 ‘작가의 말’에서 “아홉 살 어린이부터 예순아홉 할머니까지 육십여 명의 여성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셨습니다. 그 목소리에서 이 소설들이 시작되었습니다. (…) 상기된 얼굴, 자꾸만 끊기던 목소리, 가득 고였지만 끝내 흘러내리지 않던 눈물을 잊지 않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전작에서와 마찬가지로 작가는 특유의 담담한 문체로 여성들의 고통과 수난의 연대기를 써내려간다. 상사의 성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사에 알리고 노동청에 진정을 냈지만 오히려 따돌림을 당한 공기업 직원(‘두 번째 사람’), 12년 동안 싸움을 이어 오다 결국 대법원 판결로 분루를 삼키게 된 KTX 해고 승무원(‘다시 빛날 우리’),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집회에 참석한 10대 소녀(‘재수의 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반대 운동에 참여한 경북 성주의 한 할머니(‘할매의 다짐’) 등 작가가 화자로 내세운 ‘그녀’들은 대한민국의 ‘오늘’을 그대로 보여 준다.

온갖 부담에 불안하기 일쑤지만 ‘그녀’들은 그저 절망만 하진 않는다. 결혼을 준비하면서 ‘누구의 아내, 누구의 며느리, 누구의 엄마가 되지 말 것. 나는 내 모습 그대로 살아갈 것’이라고 다짐하는가 하면 부조리한 노동 환경에 움츠러들지 않고 ‘아직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며 자신을 일으켜 세운다. 잊혀진 자신의 이름을 찾기 위한 그녀들의 외침은 책의 마지막 장까지 내내 이어진다.

작가는 이 글을 쓰면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점으로 “많은 여성들이 ‘특별히 해줄 말이 없는데’, ‘내가 겪은 일은 별일도 아닌데’라며 담담히 이야기를 시작했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이어 “흔하게 일어나지만 분명 별일이었고 때로는 특별한 용기와 각오, 투쟁이 필요한 일들도 있었다”며 “특별하지 않고 별일도 아닌 여성들의 삶이 더 많이 드러나고 기록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5-31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