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경기 논란 속 기준금리 ‘7월 인상’도 신중론

경기 논란 속 기준금리 ‘7월 인상’도 신중론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8-05-22 23:16
업데이트 2018-05-23 0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일 금통위 1.50% 동결 유력

경제지표 악화·가계부채 변수
새달 美 인상 땐 역전폭↑ ‘부담’
경기침체 논란 속에서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초미의 관심사다. 당초 시장·전문가들이 예상했던 7월 인상설이 더 늦춰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 형국이다. 현재의 경제 진단과 한·미 금리 역전 여부, 그리고 가계부채가 핵심 변수로 꼽힌다.

24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현행 1.50%인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반적인 분위기다.

최근 금융투자협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채권 관련 종사자 100명 가운데 93%가 “동결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달 초만 해도 5월 기준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등장했고 7월 금리 인상을 점치는 분위기가 짙었지만 최근 들어 서서히 바뀌는 형국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산업활동동향’과 ‘4월 고용동향’ 보고서가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 3월 전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1.2% 감소로 26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하고 제조업 평균가동률(70.3%)은 전월 대비 1.8% 포인트 하락하면서 2009년 3월(69.9%) 이후 가장 낮았다.

거기다 3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10만명대에 그치는 등 일자리 상황 역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이 페이스북을 통해 “경기침체 초기 국면”이라고 주장한 것 역시 경제 상황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높이는 계기가 됐다.

당초 7월 금리 인상설은 미국 변수에 기인한 측면이 컸다.

내달 12~13일 예정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도 변수다. 연준은 지난 3월 연방기금 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한 데다 이번에 추가 인상을 단행할 경우 한·미 간 금리 역전 폭이 커지고 자본 유출의 우려도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경제지표와 경기침체 논란은 고스란히 금리 인상을 부담스럽게 하는 요소가 될 수밖에 없다. 이주열 한은 총재 역시 지난 17일 임지원 신임 금통위원에게 임명장을 주는 자리에서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와 미·중 간 무역갈등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고 일부 취약 신흥국의 금융불안도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국내 고용상황도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있어 걱정스럽다”고 말한 바 있다.

또 다른 변수는 가계부채 문제다. 올해 1분기 가계대출 가중평균 실질금리(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지표)는 연 2.38%였다. 2.54%를 기록한 2015년 3분기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갔다.

실질금리가 오르면 가계는 울며 겨자 먹기로 높은 금리를 감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린다. 특히 취약계층에 충격이 집중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일각에선 기준금리 인상이 7월 이후로 더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더 거세지고 있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8-05-23 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