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주영의 구석구석 클래식] 혼자 누리는 실내악의 매력

[김주영의 구석구석 클래식] 혼자 누리는 실내악의 매력

입력 2018-05-21 22:42
업데이트 2018-05-21 2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주영 피아니스트
김주영 피아니스트
무엇이든 혼자 할 수 있는, 아니 혼자 하는 시대가 된 듯하다. 혼밥, 혼술, 혼자 여행, 혼자 영화 관람. 카페에서나 식당에서 함께 앉은 일행들이 각자의 스마트폰을 마주하고 만들어 내는 긴 침묵도 이제 어색하지 않다. 이따금은 내가 있는 공간마저도 망각해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만드는 스마트폰을 향한 무표정한 얼굴들은 외롭다는 느낌 자체를 잊어버린 듯해 불안하다.

언제 어디서나 일상 대부분을 처리해 주는 나만의 컴퓨터를 손에서 떼어 놓을 수 없다면, 그리고 그 세계가 불쾌하지 않게 됐다면 취미 생활도 그것에 맞는 종류를 추천함이 옳다. 혼자 있는 넓지 않은 공간에서 음악조차도 온전히 나 혼자만 차지하고 싶다면 실내악을 들어 보길 권한다. 지난 세기의 클래식 음악 감상 방법론은 열 명 이내의 인원이 작은 공간에서 연주하는 실내악 분야가 가장 어렵고 난해해 감상자들이 제일 마지막 순서에 접해야 한다고 가르쳐 왔다. 하지만 내 손바닥에서 검색과 감상이 순식간에 이루어지는 21세기는 그 순서를 기다리는 시간 자체가 무의미한 시대다. 게다가 실내악은 그 ‘은밀성’에서 스마트폰 속 작은 모니터에 익숙한 세대에게 적격이다.

실내악의 매력을 설명할 때 나는 항상 연주자들끼리 나누는 속삭임에 가까운 대화를 듣는 것이 포인트라고 설명해 왔다.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교향곡이나 그 밖의 대편성 작품이 작곡가의 영감을 통해 청중들에게 웅변처럼 다가가는 것이라면, 실내악은 연주자들끼리의 긴밀한 호흡을 통해 작은 목소리로 서로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들려준다. 원래 다수에게 하는 공식적인 멘트보다 은밀한 사담이 훨씬 더 재밌고 그 얘기를 옆에서 살짝 엿듣는다면 더 흥미로운데, 이런 실내악의 속성은 정말 중독성이 강하다. 다만 그 대화 속에 들어 있는 은어나 암호 같은 그들만의 단어에 익숙해지려면 시간이 필요한바 정확한 음정과 넉넉한 음량을 가진 건반악기 피아노와 그 외의 악기들이 어우러진 편성들은 수많은 실내악 작품의 적절한 입문 과정이 될 듯하다.

피아노 5중주는 실내악 중 비교적 큰 편성으로 강한 음량과 넓은 스케일을 표현할 수 있어 작곡가들이 선호한다. 대개 피아노와 현악 4중주(바이올린 둘, 비올라, 첼로)로 이루어지지만, 현악기 자리에 목관이나 금관이 올 수도 있다. 이 편성은 음량으로 모든 악기를 덮을 수 있는 피아노와 나머지 악기의 대결 구도로 작품이 전개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피아노가 주도하지만, 다른 한편의 악기들이 이에 대항해 다채로운 대화와 대립을 펼치는 모습이 드라마틱하게 펼쳐지기도 한다. 현악기와 피아노가 결합한 작품으로 브람스, 드보르자크, 프랑크 등의 작품은 실내악 필수 감상 레퍼토리들이다.

피아노 5중주에서 바이올린 하나가 빠진 피아노 4중주는 네 악기가 골고루 나누는 대화가 입체적으로 그려진다는 특징이 있다. 피아노와 나머지 세 악기가 양편으로 나뉘어 대화하는 것은 비슷하나 때로는 악기 하나하나마다 개별적인 활약과 매력을 엿볼 수도 있다. 이 편성은 흥행과 상관없이 작곡가의 내면을 솔직히 그린 걸작들이 많은데 모차르트, 멘델스존, 슈만, 포레 등의 피아노 4중주곡이 유명하다.

아마도 가장 팬이 많을 듯한 피아노 3중주는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의 구성이다. 다른 편성과 달리 3중주는 앙상블보다는 개인기에 주력하는 특징이 강하다. 다시 말해 각자 악기가 가진 능력의 최대치를 발휘해야 효과적인 앙상블이 이루어진다는 흥미로운 모순점을 지니는데, 그래서인지 3중주의 효과적인 연주는 실내악보다 솔로 연주를 많이 하는 연주자들이 모였을 때 의외의 불꽃이 튀는 멋진 모습을 보인다. 베토벤의 작품들을 포함해 슈베르트, 차이콥스키 등의 피아노 3중주는 세 사람의 연주자가 뿜어내는 에너지가 무한대에 가깝게 확대되는 음향의 기적을 체험할 수 있는 실내악의 꽃이라고 하겠다.
2018-05-22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