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들 “자막판으로 영화 볼 기회를”

직배사 “韓시장 작아 선택과 집중”
‘얼리맨’도 자막판 상영 거의 없어
영화계 “타깃 세분화 전략 심화”

“호화 캐스팅이었는데 자막판은 제작조차 안 했다니 충격이다.”

“자막판이 없어 관람을 포기하기는 처음이네요. 선택의 여지는 줘야죠.”
‘피터 래빗’
실사 애니메이션 ‘피터 래빗’이 100% 더빙판으로만 개봉하면서 일부 팬들 사이에서 불만이 나오고 있다. 도널 글리슨, 로즈 번 외에도 제임스 코든(피터 래빗 역), 마고 로비(플롭시 역), 샘 닐(맥그리거 할아버지 역) 등 연기파 배우들의 생생한 목소리로 작품을 감상하려던 이들은 아예 더빙판으로만 극장 상영이 이뤄지자 “자막판으로 영화를 볼 기회를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클레이 애니메이션의 명가, 아드만 스튜디오의 신작 ‘얼리맨’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 3일 개봉한 영화는 더빙판과 자막판 모두 제작됐지만 실상 자막판 상영 극장은 거의 찾기가 어렵다. 지난달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홍보를 위해 내한했던 톰 히들스턴(누스 역)의 비열한 악역 목소리 연기를 고대하던 관객들로서는 극장에서 감상할 기회가 사라진 셈이다.

‘피터 래빗’을 더빙판으로만 극장에 내건 건 직배사인 소니픽쳐스코리아의 결정이다. 소니픽쳐스코리아 관계자는 “‘피터 래빗’이 미국 시장(지난 2월 개봉)에서는 성인 관객층까지 아울렀지만 한국은 애니메이션 시장 규모가 작고 아동을 동반한 가족 단위의 관객이 많아 선택과 집중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마블 대작 등 경쟁작이 많아 상영관이 제한돼 있는 현실에서 애니메이션은 성인 대상 영화와 달리 상영 회차를 많이 받지 못하는 상황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설명도 이어졌다.

상영작 편성을 결정하는 극장들은 애니메이션의 경우 콘텐츠와 캐릭터 성격에 따른 타깃 연령층 분석, 배급사의 스크린 전략 등을 고려해 더빙판과 자막판의 상영 비중을 짠다.

시장 점유율 50%로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인 CGV 분석에 따르면 지난 2월 개봉한 ‘패딩턴2’의 경우 개봉 첫 주에는 자막판 상영 비중이 62%였지만 어린이 관객이 늘면서 3주차에는 27%까지 줄였다.

351만 관객을 모은 ‘코코’(2017)와 1029만 관객이 든 ‘겨울왕국’(2013) 사례만 다소 이례적이다. 어른 관객들에게서도 흥행하면서 오히려 자막판 상영 비중이 점점 늘어났다. ‘코코’는 개봉 1주차에 자막 비중이 41%로 시작했지만 4주차에 51.5%까지, ‘겨울왕국’은 자막 비중이 개봉 1주차에 53%였다가 4주차에 74%까지 확대됐다.

이번 ‘피터 래빗’ 사례는 개봉 영화의 편수가 많아지고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등 대작들이 스크린을 장악하면서 애니메이션과 같은 규모가 작은 영화들이 타깃 연령층을 세분화하는 경향에서 나온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애니메이션의 경우 디즈니나 드림웍스, 픽사 등 관객 연령층이 폭넓은 할리우드 메이저 제작사 작품이나 ‘건담’, ‘마징가Z’ 등 과거 콘텐츠에 향수를 지닌 성인 관객이 타깃인 작품이 아닌 이상 전체 상영의 90% 이상은 더빙판으로 이뤄진다”며 “타깃 세분화 전략이 심화되는 분위기”라고 짚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