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스템에 복종 ‘합리화’의 민낯…자기모순에 빠진 보통 사람들

시스템에 복종 ‘합리화’의 민낯…자기모순에 빠진 보통 사람들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5-08 20:58
업데이트 2018-05-08 22: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년 만에 장편소설 ‘죽은 자로 하여금’ 펴낸 소설가 편혜영

먹고살기 위해, 조직에서 생존하기 위해 사람들은 때때로 의지와 상관없는 선택을 한다. 예컨대 조직의 부패를 눈 감거나 옹호하는 극단적인 타협일 수도 있다. 불합리한 상황에서 흔들릴 수밖에 없는 개인은 그래서 자신의 선택을 합리화하는 데 능숙해진다.
이미지 확대
병원을 배경으로 한 신작 장편 ‘죽은 자로 하여금’을 펴낸 소설가 편혜영은 기존의 의학 드라마 특유의 휴머니즘이 아닌 병원 직원들이 겪는 절망적인 상황에 집중한다. 작가는 “출간된 책을 많이 참고했지만 의료진이 아닌 행정직원들이 주인공이어서 스스로 상상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았다”고 말했다. 서울신문 DB
병원을 배경으로 한 신작 장편 ‘죽은 자로 하여금’을 펴낸 소설가 편혜영은 기존의 의학 드라마 특유의 휴머니즘이 아닌 병원 직원들이 겪는 절망적인 상황에 집중한다. 작가는 “출간된 책을 많이 참고했지만 의료진이 아닌 행정직원들이 주인공이어서 스스로 상상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았다”고 말했다. 서울신문 DB
소설가 편혜영(46)이 전작 ‘홀’ 이후 2년 만에 펴낸 장편소설 ‘죽은 자로 하여금’(현대문학)은 선택의 기로에서 갈등하는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다. 편혜영은 8일 “겉으로 봤을 땐 윤리적이지만 이익 집단과 다를 바 없는 병원의 민낯을 드러내고, 그 폐쇄적인 공간 속에서 갈팡질팡하는 인물을 그리기 위해 의료진이 아닌 행정직 직원들을 등장인물로 선택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의 대형 종합병원 구매과 직원이었던 주인공 무주는 리베이트를 챙기다 소도시의 병원으로 쫓겨난다. 그는 새로 옮겨 간 병원에서 동료들 사이에서 평판이 좋은 이석의 비리를 알게 된다. 무주는 이석이 3년째 병상에 누워 있는 아들 때문에 비리를 저지를 수밖에 없었다는 걸 알게 된다. 무주는 평소 자신에게 호의를 베풀어 준 이석을 고발해야 할지 고뇌한다. 스스로 “순도 높은 정의감과 도덕심”을 가졌다고 여기는 무주는 곧 태어날 아이 앞에서만은 떳떳하고 싶다는 생각에 그의 비리를 고발한다.

“무주는 자신의 행동을 시스템에 복종한 것이라고 합리화하면서 스스로 계속 모순에 빠지는 인물이죠. 어떤 사람을 ‘선하다 악하다’라고 명확하게 나누기는 힘들잖아요. 무주처럼 스스로 갈팡질팡하면서도 변명에 능한 복합적인 인물을 그리고 싶었어요.”

한 집단의 관행이라면 옳고 그름을 따지지 말고 따라야 한다는 등장인물들의 현실 순응적인 태도는 책 제목에도 함축돼 있다.

“성경 마태복음에 ‘죽은 자로 하여금 죽은 자를 장사하게 하라’는 구절이 있어요. 무주도 그렇고 이석도 그렇고 다들 자기가 원하는 건 아니지만 계속해서 변명하면서 조직의 이익에 끌려가죠. 자기 모순에 빠져 자신을 잃어 가는 사람들을 포괄적으로 본다면 ‘죽은 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자신도 확신에 차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나쁜 일을 권하는 인물들 역시 성경의 이 구절과 맞아떨어지는 것 같고요.”

무단결근한 무주가 동네의 한 도로를 따라 자신에게 남은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장면으로 작품은 끝맺음된다. 회사 혹은 가족으로부터 희망을 찾았는지 여운을 남기지 않은 작품의 결말은 “기존 시스템과 사회는 변하지 않고 계속 되풀이될 것”이라는 작가의 생각에서 비롯됐다.

“병원 직원들은 부정을 저지른 경영진이 물러났지만 새 인수자가 빨리 나타나길 희망해요. 새 사람이 병원을 인수해도 똑같은 상황이 벌어지고 악순환에 빠질 게 자명한데도 말이죠. 저의 생각과는 달리 무주가 희망의 작은 끈을 놓지 않았다고 해석하는 독자들을 보면서 ‘어쩌면 사람들이 정말 원하는 건 작은 빛일 수도 있겠구나’ 하는 깨달음도 얻었습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5-09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