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바람의 지표/강의모 방송작가

[문화마당] 바람의 지표/강의모 방송작가

입력 2018-04-04 17:54
업데이트 2018-04-05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의모 방송작가
강의모 방송작가
내가 사는 집 근처에는 수양버들이 유난히 많다. 이웃 동네 이름에 버들 류(柳)가 들어 있는 것도 그 까닭이지 싶다. 언제 적어 놓았던지 독서록에 이런 글이 남아 있다.

‘수양버들은 슬픈 나무임에 틀림없다. 세상 모든 눈물의 무게를 매단 채 가지를 땅으로 기울이고 있으니까.’ 책 제목과 지은이는 적어 놓지 않아 감감한데, 그 구절은 오래 살아 있다.

한여름 지치고 피곤할 때 무겁게 늘어진 버들가지를 보면 그런 슬픔이 차오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 계절은 아니다. 서둘러 연녹색 잎을 틔운 실버들이 바람에 한들거리는 모양을 보면 마음이 싱숭생숭해진다.

라디오 작가 초보 시절 식목일 특집회의에서 내 아이디어가 뽑혀 첫 전체 구성을 맡았다. 장 지오노의 ‘나무를 심은 사람’을 바탕으로 미니드라마를 꾸몄다. 피디는 첫 곡으로 시인과촌장의 ‘새봄 나라에서 살던 시원한 바람’을 골랐다.

방송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데 그날따라 저녁 햇살이 참 고왔다. 수양버들 길게 늘어선 물가에 차를 세우고, 해가 질 때까지 바람이 만들어 내는 그림을 감상했다. 한적했던 그곳도 아파트 단지가 생겨 동네 풍경은 많이 달라졌다. 그래도 드문드문 남은 수양버들은 여전히 바람에 한들거리며 계절을 그려 내고 있다.

지난 주말 조금은 이색적인 전시회에 다녀왔다. 혜원, 겸재 두 화가의 그림에 미디어아트 기술을 접목한 것이 흥미로웠다. 솔직히 말하면 ‘바람을 그리다’란 제목에 이끌린 걸음이었다.

혜원 신윤복의 풍속도는 사람들 가슴속에 부는 바람을, 겸재 정선의 산수화는 우리 강산에 부는 바람을 그렸다 했다. 말 타고 나들이 따라나선 여인네들 머리에서 나풀거리는 진달래 꽃가지, 한 발을 그네에 얹고 힘차게 구를 때 경쾌하게 펄럭이는 여인의 치맛자락. 신윤복이 그려 낸 여인의 봄바람은 보는 마음까지 설레게 했으나, 해금강 굽이치는 파도에 굵은 바람을 실은 정선의 그림에서 평정심을 되찾았다.

며칠 전 라디오 공개방송 현장에서 장사익 선생을 뵈었다. 곱게 한복을 차려입으시고 해금의 애절한 연주에 맞춰 ‘봄날은 간다’를 목청껏 뽑을 때 온몸에 전율이 일었다.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첫 소절에 이미 눈물 한 방울이 툭! 기다린 봄날을 제대로 맞이하기 전에 보내는 슬픔부터 간을 보는 게 경험의 삶이려니…. 세월의 바람은 그렇게 사람을 단련시킨다.

서정주 시인은 ‘나를 키운 것은 8할이 바람’이라 했다. 그리 보면 나를 지켜 준 건 8할이 바람이다. 때로는 미풍, 대체로 삭풍이. 다른 시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였다.

김애란 소설 ‘두근두근 내 인생’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자연은 해마다 같은 문제지를 받고, 정답을 모르면서 정답을 쓴다. 계절을 계절이게 하는 건 바람의 가장 좋은 습관 중 하나다.’

‘바람이 분다’는 말이 계절마다, 또 나이에 따라 다른 느낌인 이유도 아마 그 ‘정답 없음’에 해당할 것이다.

어쨌든 내게 바람의 지표는 나무다. 내 방 책상에서 창문 밖으로 벚나무 한 그루가 내려다보인다. 아침이면 여린 가지들의 술렁임을 보며 바람의 세기를 가늠한다.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린다 했는데, 잔뿌리에서 벋어난 생각들은 늘 요동을 친다. 그럴 때마다 같이 흔들려 주는 실가지들이 참 고맙다.
2018-04-05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