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돌은 아름답다!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돌은 아름답다!

입력 2018-03-30 18:00
업데이트 2018-03-30 18: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돌은 아름답다! 영원한 신라인, 고청 윤경렬 선생이 1963년에 펴낸 우리나라 최초의 어린이박물관학교 교재 ‘석기이야기’의 첫 구절은 이렇게 ‘돌은 아름답다’로 시작한다. 황토 사이로 빼꼼히 머리를 내밀고 반짝이는 석기를 발견해 본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애틋한 기쁨을 선생은 아름답다는 한마디로 기막히게 표현했다. 그렇지만 구석기시대는 우리와 너무나 먼 과거의 시간이고, 구석기라고 하는 유물들은 아무렇게나 굴러다니는 돌조각과 다름이 아니어서 선사인의 유물이라는 감동을 느끼기는 사실 쉽지가 않다. “이 주먹도끼야말로~”라고 설명을 시작하면 예의 “그거 그냥 돌멩이 아니에요?” 하는 야유성 질문이 돌아오기 십상인 이유다.

하지만 구석기시대의 대표적인 석기인 주먹도끼를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참으로 아름답다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아몬드 모양을 한 주먹도끼는 마치 잘 세팅된 물방울 다이아몬드를 연상시킬 정도로 좌우대칭의 균형미를 갖추고 있다. 이미 약 150만년 전의 초기 인류가 만들기 시작한 주먹도끼는 평면에서도 옆면에서도 모두 대칭에 가깝다. 좌우대칭의 날을 가진 주먹도끼는 아무렇게나 툭툭 떼어내서는 만들 수가 없는 정교한 석기다. 머릿속의 설계도를 따라 작업 순서대로 차근차근 떼어내야만 완성할 수 있는 석기다. 주먹도끼를 만들었던 초기 인류들은 자기 눈앞에 보이지 않는 주먹도끼의 설계도를 머릿속에 그려 넣을 수 있었다. 소위 추상적 사고 능력이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인지 주먹도끼는 현대인의 눈으로 봐도 참 매력적이다.

필자는 가끔 구석기시대의 주먹도끼를 직접 만들어 보고 사용해 보는 실험고고학 연구를 하곤 하는데 가죽을 벗기고 고기를 써는 용도, 즉 석기의 기능만을 생각한다면 굳이 주먹도끼와 같이 오랜 시간 공을 들여 높은 수준의 대칭성을 가진 석기를 만들 필요는 없다. 한두 번의 타격으로 투박하게 떼어 낸 돌조각만으로도 충분히 고기를 썰고 나무껍질을 벗길 수 있다. 그래서 주먹도끼의 아름다운 대칭성은 더 흥미롭다. 고고학자들이 아는 한 주먹도끼는 동물을 도축하고 나무를 다듬는 일에 사용됐기 때문이다.

좌우대칭의 아름다운 모양을 가진 주먹도끼를 떼어 내려면 공이 많이 들어갈뿐더러 솜씨도 아주 좋아야 한다. 그렇다면 초기 인류는 왜 구태여 고도의 대칭성을 가진, 마치 예술품과도 같은 정교한 주먹도끼를 오랜 시간 공들여 만드는 수고를 했을까? 아마도 자기가 쓰는 도구를 아름답게 장식하고자 하는 욕구가 인간의 본성이기 때문일 것이다. 멋들어지게 장식된 사냥총 개머리판이나 화려한 무늬가 새겨진 캠핑칼을 떠올려 보시기 바란다.

많은 구석기 학자들은 좌우대칭의 균형미를 갖춘 주먹도끼를 만들기 시작한 초기 인류에게 이미 예술적 사고의 싹이 트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는 주먹도끼가 인류 최초의 미술품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윤경렬 선생 말씀처럼 돌은 아름다운 것이다.

6·25 때 난리는 난리도 아니라는 유행어가 있었다. 정말 요사이는 하루하루가 숨 막힐 정도로 많은 일이 벌어진다.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팽팽한 긴장감으로 꽉 찬 일상도 모자라 미세먼지로 가득한 도심을 걷노라면 참으로 고달픈 인생이라는 한숨이 절로 나올 때도 있을 것이다. 가까운 박물관을 찾아가 주먹도끼를 가만히 들여다보면서 인제 보니 돌이 참 아름답구나 하는 여유를 가져보는 봄날이 되기를 감히 권해 본다.
2018-03-31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