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중·고교 휴학제 표준안 만들기 돌입… 불붙은 찬반 논란
‘한국에서도 갭이어(gap-year)가 가능할까.’26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최근 ‘중·고등학교 휴학제 개선 방안’ 정책 연구를 발주했다. 중·고교에서 현재보다 휴학을 폭넓게 할 수 있도록 사유와 기간, 절차 등을 정비해 ‘휴학제 표준안’을 만드는 게 목표다. 또 휴학 기간에 학생들을 어떻게 관리할지, 휴학이 끝난 뒤 어떻게 복학시킬지 등도 검토한다.
휴학제가 도입되면 중·고교생이 약 1년간 봉사, 여행, 직업 활동 등을 하며 진학·진로의 방향을 정할 수 있어 목표 의식을 가지고 학교 생활을 하게 될 것이라는 게 교육당국의 기대다. 지금도 고교에서 휴학을 할 수는 있지만 사유가 질병 등으로 제한적이다. 교육부는 2022년까지 전면 도입할 ‘고교 학점제’(희망 진로에 맞춰 과목을 선택해 배우고, 기준 학점을 채우면 졸업하는 제도)와 휴학제가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 오디세이학교의 정병오 교사는 “학생들이 교육 과정을 떠나 진로를 고민해볼 적기는 대학이 아닌 고등학교 때”라면서 “진로교육은 교실에 앉아 적성검사를 받거나 직업의 종류를 공부한다고 되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영국 등 유럽에서는 이러한 갭이어 제도가 일반화돼 있다. 여행, 진로 교육, 강연 등 갭이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 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방학 등을 이용해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싶다는 청소년 층의 문의가 전년보다 50% 이상 늘었다”고 귀띔했다.
교육당국은 특히 학교의 교육 방식과 맞지 않거나 또래 관계 등에서 어려움을 겪다가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들을 위해서도 휴학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면 보통 자퇴하는데 휴학제가 있다면 일정 기간 등교하지 않아도 공교육 안에서 진로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작용 우려도 적지 않다. 우선 학교 밖 체험 프로그램이 별로 없는 상황에서 휴학제부터 도입하면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있다. 김재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은 “현재 시행 중인 중학교 자유학기제는 대도시와 농어촌 간 학교 밖 프로그램의 차이가 커 문제인데 같은 문제를 답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가정 형편이 좋은 학생들만 휴학제를 활용해 학생 간 격차를 더 벌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동엽 한국교육개발원 박사는 “학생들에게 진로 고민의 시간을 준다는 취지는 공감한다”면서도 “휴학 뒤 해외연수나 사교육을 집중적으로 받을 수 있는 아이들과 그렇지 못한 아이 간 차이가 벌어지고 학교를 다니기 싫은 아이들이 휴학을 남발하는 부작용 등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또 한국은 유럽 사회와 비교해 또래의 집단 문화가 강하기 때문에 1년을 쉰 뒤 복학하면 1살 어린 학생들과의 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03-2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