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박미경의 사진 산문] ‘빗개’의 시선으로 4ㆍ3을 환원하다

[박미경의 사진 산문] ‘빗개’의 시선으로 4ㆍ3을 환원하다

입력 2018-03-19 17:56
업데이트 2018-03-20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름의 부드러운 능선을 원경으로 펼쳐 두고 갈대들이 바람에 흔들린다. 구멍 뚫린 현무암 돌담 너머엔 하늘이 걸려 있다. 노란 유채와 새빨간 동백. 오름과 돌담과 꽃, 꽃들. 일찍이 우리 눈에 익은 ‘아름다운 제주 풍경’ 사진이다. 그런데 사진들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어딘지 불안하다. 몰래 숨어서 내다보는 것 같은 시점이다. 때로는 땅에 납작 엎드려야만 보이는 높이다. 돌담은 모서리에 찔릴 듯 너무 가깝고, 갈대의 흔들림도 어떤 기척처럼 수상하다. 사진의 제목이 ‘빗개’. 아무리 제주 방언이라 할지라도 제목조차 귀에 설다.
이미지 확대
‘빗개’ 유별남 作
‘빗개’ 유별남 作
제주에서는 처녀를 비바리라 부르듯이 어린 소년소녀들을 빗개라 불렀다. 하지만 여기서의 빗개는 1948년 일어난 ‘4·3사건’ 당시 토벌대와 무장대를 피해 제주 땅 곳곳에 몸을 숨긴 주민들이 은신처를 지키고자 망보기로 세웠던 십대 소년들을 일컫는다. 여기 이 제주 풍경들은 70여년 전 참혹한 학살이 벌어졌던 다랑쉬굴 앞에서, 도틀굴 숲 속에서, 정방폭포 뒤에서 망을 보던 소년의 시선을 빌린 사진들이다. 지금은 유적으로 분류된 학살터를 비롯해 ‘생존한 빗개’들의 증언을 통해 확인된 장소들의 사계절이 사람의 시각과 유사한 화각에 담겨 있다.
이미지 확대
박미경 갤러리 류가헌 관장
박미경 갤러리 류가헌 관장
제주 4·3은 ‘미군정기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이르기까지 7년여에 걸쳐 지속된, 한국 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 피해가 극심했던 비극적인 사건’이라는 것이 오늘날의 정의다. 제주 도민 30만명 중 3만명이 목숨을 잃었다. 지금은 ‘국가 공권력에 의한 집단 희생’으로까지 귀결됐으나, 반세기 넘도록 진상 규명은커녕 입 밖으로도 꺼내서는 안 되는 사건이었다. 또 대한민국에는 ‘현대사의 비극적인 사건’이지만 제주 사람들에게는 가족의 아픈 역사이자 이웃과 고향의 슬픈 역사다. 7년이 지난 후에도 끝나지 않고, 70년이 된 오늘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귀결되지 않은 현재’다.

‘빗개’ 사진을 찍은 이는 제주 출신의 다큐멘터리 사진가 유별남이다. 어린 시절 “4·3이 머우꽈?” 하고 물었다가 할아버지에게 다짜고짜 호되게 회초리를 맞고 “다시는 그 얘길랑 말고 속슴허라이(조용히 하라).” 다짐을 당했었다. 그래도 4·3은 ‘쉬쉬’하면서 하는 어른들의 귀엣말과 한숨과 눈초리와 움츠린 몸짓을 타고 그에게 전해졌고, 그의 내부에 ‘속슴히’ 스며 있었다. 그러므로 ‘빗개’ 사진의 촬영 기간인 지난 일 년은 제주에서 나고 자라 온 그의 생애의 총합이 기어이 밀어낸 끄트머리의 일 년인 셈이다. 오래 입 밖으로 꺼낼 수 없던 말을, 이제야 자신의 언어인 ‘시각 언어’ 즉 사진을 빌려 토해 낸 것이다.

유별남이 채록한 ‘생존한 빗개’의 인터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토벌대든 무장대든 언제 누가 쳐들어올지 몰라 무서운 마음으로 숨어서 망을 봅니다. 그렇게 종일 마을 뒷산에서 망을 보다 보면 지루해지기도 합니다. 저도 모르게 주변에 풀꽃도 건드려 보고 돌담에 기대 하늘도 올려다봅니다. 그럼 이런 생각이 들어요. ‘우리 고향 참 아름답구나…’ 그러다 새가 날아오르는 작은 기척에도 소스라쳐 놀라지요. 그때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망을 보던 소년 ‘빗개’의 눈앞에 펼쳐진 풍광은 70년이 지난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제주의 자연은 그때나 이제나 여전히 아름답다. 다만, 우리는 안다. 사람의 마음에 의해 풍경의 명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이제 제주의 풍경은 4·3을 알리고 바로 세우려 노력하는 저마다의 일성에 의해 그 명도가 달라질 것이다. 지금 눈앞에 펼쳐진 아름다운 제주 풍경의 한 겹을 벗겨 내고 사건의 진상과 진실을, 그 속살의 사연을 들여다보자고, 사진이 그날의 4·3을 오늘로 환원한다.
2018-03-20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