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신라조각가 양지(良志)/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신라조각가 양지(良志)/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8-03-18 22:36
업데이트 2018-03-18 23: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금 국립경주박물관 신라미술관에서는 사천왕사의 녹유신장상(綠釉神將像)을 특별 전시하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와 나누어 보관하던 녹유신장상 파편을 모아 완전한 모습으로 복원한 3점의 벽전(壁塼)을 만날 수 있다. 녹색 유약을 바른 듯한 신장상은 사천왕사터 동·서 목탑의 기단을 장식했던 것이다.
사천왕사는 679년 문무왕이 경주 낭산 신유림에 세운 호국사찰이다. 명랑법사가 문두루비법으로 당나라 군대를 물리쳤다는 곳이기도 하다. 1915년 일본인 학자 아유카이 후사노신이 서탑 터에서 녹유신장상 파편의 일부를 수습했고 조선총독부가 1918년 발굴을 시작했다.

경주문화재연구소가 체계적인 발굴조사를 벌인 것은 2006~2012년이다. 경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왼손에 칼을 든 녹유신장상’의 하체와 짝을 이루는 상체 파편들을 서탑지 북편에서 수습한 것도 중요한 성과였다. 이렇게 ‘완전체’를 이룬 신장상도 이번 전시에 출품됐다.

잘 알려진 것처럼 사천왕사 녹유신장상을 만든 사람은 양지(良志)다. ‘삼국유사’에 ‘양지가 지팡이를 부리다’는 뜻의 양지사석(良志使錫) 조에 적혀 있는 대로이다. 석굴암조차 조각한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양지의 이름이 전해지고 있는 것은 이례적이다.

‘삼국유사’의 내용은 이렇다. 양지가 석장에 포대를 걸어 두면 저절로 시주할 집에 날아가 목탁 소리를 냈고, 이에 사람들이 시주 곡식을 담아 주었는데 포대가 차면 석장은 다시 날아왔다. 그래서 그가 있던 절을 석장사라 했다는 것이다.

일연은 ‘양지가 영묘사 장육존상을 만들 때 입정(入定)해 정수(正受)의 태도였으니 사람들이 다투어 진흙을 날랐다’고 했다. 선정(禪定)에 들 만큼 침잠한 단계에서 작업했고, 불성(佛性)이 담긴 작품에 사람들이 감동했다는 뜻이다.

양지가 어느 나라 사람인지를 두고서는 학계의 의견이 엇갈린다. 중국에 유학했을 가능성이 많은 신라인이라는 주장이 있는 반면 서역에서 수련을 쌓은 조각가이거나 아예 서역인이라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그가 서역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 인물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사천왕사터 녹유신장상은 그동안에도 경주박물관의 중요 전시품의 하나였다. 그런데 일부만 보던 그동안과는 달리 전체를 대하고 보니 매우 새롭게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경주박물관은 “신라미술관의 ‘감은사터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도 함께 관람해 보라”고 권한다. 역시 양지의 작품이라는 학설이 제기되기도 했으니 한번 확인해 보는 것도 흥미롭겠다.

dcsuh@seoul.co.kr
2018-03-19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