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맞은편 세상, 빈곤층 아이들의 ‘긍정 마법’

어른이 되면 우리는 자신이 아이였던 적이 없는 것처럼 군다. 아이는 보통 미성숙의 대명사로 여겨지니까. 그런데 한 선지자는 다음과 같이 설파한다. “어떻게 하여 정신이 낙타가 되고, 낙타는 사자가 되며, 사자는 마침내 아이가 되는가.” (니체가 쓴) 자라투스트라의 말이다. 그에 따르면 정신은 세 단계를 거쳐 성숙한다. 첫 번째 단계 - 낙타가 상징하는 ‘인내의 의무’, 두 번째 단계 - 사자가 상징하는 ‘자유의 탈환’, 세 번째 단계 - 아이가 상징하는 ‘긍정의 창조’. 낙타와 사자 같은 어른이 될수록 정신은 퇴보한다는 것이 자라투스트라의 가르침이다. 그러니까 “새로운 출발, 놀이, 스스로 도는 수레바퀴”인 아이였을 때, 어쩌면 우리의 정신은 가장 성숙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영화 ‘플로리다 프로젝트’
그런 점에서 ‘플로리다 프로젝트’의 중심인물이 아이들이라는 사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이들은 플로리다 디즈니월드의 맞은편에 있는 모텔인 ‘매직 캐슬’에 산다. 가난 탓에 정착할 집을 구할 수 없어서다. 실제로 여기에는 관광객이 아니라 주 단위로 모텔 숙박비를 내면서 사는 빈곤층이 많다. 숀 베이커 감독은 그들과 오래 교류하며 영화를 만들 준비를 했고, “디즈니월드 맞은편에 또 다른 세상이 있음을 깨닫게 되는 계기”를 아이의 시각에서 풀어놨다. 그 주인공이 여섯 살 소녀 무니(브루클린 프린스)다. 그녀는 자기처럼 모텔에 사는 또래 친구들과 어울려 장난을 치는 말괄량이다. 무니만 떴다 하면 그곳은 금세 왁자지껄해진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그러나 무니는 속 깊은 아이기도 하다. 그녀는 “난 어른들이 울기 직전에 어떤 표정을 하는지 알아”, “내가 이 나무를 좋아하는 이유는 쓰러졌는데도 계속 자라나기 때문이야”라고 이야기한다. 가만 따지고 보면 무니의 생활환경은 최악에 가깝다. 엄마 핼리(브리아 비나이트)가 딸을 사랑하지만 제대로 돌봐 주지는 못해서다. 방세는 밀리기 일쑤고 음식은 구호물자에 의존한다. 무니는 분명 척박한 땅에서 자라고 있다. 그렇지만 그녀가 사는 ‘마법의 성’에 아예 마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아이들을 따뜻하게 챙기는 모텔 매니저인 보비(윌렘 대포)의 모습이 그렇다. 덕분에 무니도 잘 자라고 있다.

한데 뭐니 뭐니 해도 제일 위대한 마법은 무니를 비롯한 아이들이 부린다. 그네들은 디즈니월드 맞은편 모텔촌의 너절한 분위기를 단숨에 생동감 넘치게 바꾼다. 아이들의 존재로 인해 이곳은 디즈니월드보다 더 환상적인 장소로 변모하는 것이다. 아이를 주제로 삼아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한다. “창조의 유희를 위해서는 성스러운 긍정이 필요하다. 이제 정신은 자신의 의지를 원하고 세계를 상실한 자는 자신의 세계를 되찾는다.” 이런 것이 아이의 정신이 실현하는 ‘긍정의 창조’다. 다시 말해 어른이 돼서도 우리는 자신이 아이였던 시절을 잊으면 안 된다는 뜻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