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재무의 오솔길] 경계를 넘어서

[이재무의 오솔길] 경계를 넘어서

입력 2018-03-12 17:52
업데이트 2018-03-12 1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사회의 갈등이 매우 심각하다. 남북 간의 오래된 이념적 대립과 반목과 갈등이 우리 민족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마당에 이르렀다. 또한 이로 연유된 남남 갈등은 날이 갈수록 더욱 기승을 부리며 심각하게 첨예화돼 가고 있다. 지역 간의 갈등뿐만 아니라 자본과 노동 간의 갈등, 계층 간의 갈등, 남녀 간의 갈등, 세대 간의 갈등 등등이 실로 위험 수위를 넘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갈등은 본래 나쁜 것이 아니다. 연성으로서의 갈등은 발전의 동력으로 작동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열린 사회일수록 갈등 때문에 시끄럽다. 열린 사회는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논쟁을 하고 의견을 다툰다. 강자가 약자 위에 군림하지 않는, 상호 동등한 위치에서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한다. 그러노라면 자연 시끄러울 수밖에 없다.
이재무 시인
이재무 시인
소음이 허용되지 않는 사회는 닫힌 사회다. 닫힌 사회는 쌍방향의 대화가 없다. 상호 네트워크가 없다. 수상한 침묵을 강요한다. 일방적인 훈계와 지시가 타자의 입을 막는 사회에서 발명과 창의가 발생할 수 없다. 조용한 사회는 죽은 사회다.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 권위에 가위눌린 가정에서는 열린 대화로서의 소란이 있을 수 없다. 나아가 독재 권력 체제하에서 사회 구성원들은 침묵을 강요당한다. 이렇게 볼 때 갈등과 소란이 마냥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사회 발전을 위한 긍정의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 이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갈등과 소란은 열린 사회에서 가능한 연성으로서의 소란, 즉 합의 도출을 위한 다름과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시멘트처럼 경화된 것으로서 반목과 분열을 더욱 강고하게 심화시킨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경화로서의 분열과 갈등은 타자를 전혀 인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부정하고 모욕하고 능멸한다. 요컨대 서로 간 적대적 감정으로 사회의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 이분법이 횡행하는 사회다. 나와 너 사이에 누구도 쉽게 존재하기 어려운 사회인 것이다. 나와 너 사이에 존재하는 이는 회색분자로 낙인찍힌다. 우리는 배제나 소외를 당하지 않으려고 나와 너 가운데 하나를 선택받도록 강요당하며 살고 있다.

경계가 확고한 사회는 위험하다. 경계가 무리를 만들고 울타리를 짓기 때문이다. 경계를 지우고 무너뜨려야 더 넓고 깊게 잘살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살면서 아이들에서부터 어른들에 이르기까지 무리와 울타리에 속하지 않는 자들을 격리시키는 일이 아무런 자의식 없이 자행되는 현상을 자주 목격한다. 어떻게 하면 갈수록 높아지고 단단해지고 있는 불신과 경계의 벽을 지우고 무너뜨릴 수 있을까? 경계가 무용하다는 것을 깨달을 때 그것은 가능해질 것이다.

“고향에 돌아와 오래된 담장을 허물었다/기울어진 담을 무너뜨리고 삐걱거리는 대문을 떼어냈다/담장 없는 집이 되었다/눈이 시원해졌다/우선 텃밭 육백 평이 정원으로 들어오고/텃밭 아래 사는 백 살 된 느티나무가 아래 둥치째 들어왔다”(공광규, 시 ‘담장을 허물다’, 부분)

이 시는 담장을 허물고 나서 시적 주체가 얼마나 넓게 많은 것을 누리게 됐는지 알게 해 준다. 이것은 비록 물리적 차원에서만 적용되는 게 아니다. 심리적ㆍ정신적 차원에서 더욱 곰곰이 곱씹어야 할 문제인 것이다. 우리는 살면서 아집 때문에 귀한 인연을 스스로 놓칠 때가 얼마나 많은가. ‘방하착’이라는 말이 있듯이 내려놓으면 편해지고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소한 것에 집착하느라 길지 않은 생을 소모하고 있는 것이다. 아집과 이기가 집단화되면 무서운 불신의 무기가 되기도 한다.

지금 우리 시대 우리 사회는 너무 많은 분열로 넘쳐나고 있다. 오랜 갈등과 분열의 양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내면화돼 이제는 그것을 지각조차 못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참으로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담장을 허물어 더 많은, 귀한 것들을 가지게 된 시적 주체처럼 우리도 삶의 안팎에 존재하는 마음의 담장과 경계를 허문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관계의 보물들을 나눌 수 있을 것이다.
2018-03-13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